2강.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 CONTENTS
1 서양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2 가족상담 및 치료 분야의 주요 인물
3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시대별 발달과정
4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1. 서양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1.1 체계이론의 도입
1) 체계이론이란?
(1) 가족치료 : 2차 대전 이후 전쟁으로 인한 가족해체, 재결합에 따른 가족문제발생
-> 가족학 및 가족상담 및 치료 분야의 필요성 대두
(2) 체계이론
- Bertalanffy의 일반체계이론을 가족치료에 도입
- 여러 하위체계와 상위체계의 관계를 밝혀내고 조직화의 유형 파악하는 이론
(3)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라는 명제
-> 한 하위체계의 변화는 다른 하위체계의 변화를 유발 or 변화 체계
(4) 체계 ->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살아 있는 조직
(5) 체계이론이란?
- ‘체계이론’이 정신건강 분야에 도입되면서 시각 변화
① 개인의 부적응과 심리장애에 대한 시각 변화
→ 개인의 문제 < 관계의 문제, 체계의 역기능에서 비롯되는 문제
② 문제의 이유에 대한 질문 x
→ 관계 유형을 설명할 수 있는 사실과 상황의 진행에 관해 질문
③ 직선적인 인과론 x
→ 상호의존적이고 공동책임을 지는 순환적 인과론 지지
④ 통합적(holistic), 관계적, 주관적인 의미 강조 & ‘지금-여기’에 초점
1.2 심리치료 영역
※ 심리치료 영역
- 개인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
. 1950년대 중반 : 정신장애 환자들을 가족들로부터 격리시켜 개인치료
① 프로이트: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는 원가족에서의 신경증적 갈등과 파괴적 상호작용에 기인 .
-> 유해한 가족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킴
② 로저스: 자아실현을 지향하는 인간의 타고난 성향이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왜곡, 변질 .
자아실현 욕구 vs. 인정받고 싶은 욕구 간 갈등 → 가족으로부터 분리
. but 가족원 한 사람의 변화가 가족체계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인식
→ 가족참여의 중요성 인식하면서 가족치료 시작
1.3 그 외 가족치료 관점에 영향을 미친 운동
1 가족치료 관점에 영향을 준 운동
1) 소집단 역동성
. Kurt Lewin의 장이론(field theory)에 기초
. 하나의 집단은 집단 내 부분의 합 이상
. 개인이 아니라 가족체계를 보아야 한다는 가족치료와 연결
예) 집단 전체의 역할, 구조 관심
-> 집단 내 습관, 신념, 관계, 역기능적 행동 등의 변화에 초점
-> 가족을 한 단위체로 보고 가족체계와 구조 속의 역학관계에 관심
* 장이론(field theory)
- 인간의 행동을 개인의 현재의 상황, 즉 장(場)과의 관계로 설명하려는 이론
2) 아동지도운동
. 아동지도운동은 아동의 권리에 관심이 쏠린 20세기 초에 시작
. 정서적 장애가 아동기에 시작되므로 아동 문제를 치료하는 것이 사람들의 정서적 장애를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신념에 기반
. But 점차 아동의 실제 문제는 아동의 증상이 아니라 가족 내 긴장이라는 결론 내림
. 문제를 유발하는 사회적, 가정적 요인에 관심
예) Fromm-Reichmann은 ‘정신분열을 유발하는 어머니’라는 용어 만듦
. 이후 아동지도운동은 부모를 문제의 원인, 자녀를 희생자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부모, 아동, 의미 있는 타자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나 관계의 문제로 인식
3) 부부상담
. 남편과 부인 각 개인의 환경과 성격, 가치관을 다룸
. But 부부간의 의사소통, 기대, 갈등 등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개인치료와 차별됨
4) 사회사업 분야의 활동
. 내담자 방문 → 가족문제 해결을 위해 가족원 면접
. 내담자 < 내담자의 가정으로 관심 확대
2. 가족상담 및 치료 분야의 주요 인물
2.1 벨(John Bell)
※ 벨(John Bell), 그는 누구인가?
- 클라크(Clark)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
- 가족을 치료하기 시작한 최초의 가족치료자로 알려져 있음
- but 대외적인 활동엔 소극적이어서 비주류로 분류
- 가족문제 해결 및 의사소통 강화
『가족집단치료(Family Group Therapy)』 (1961) 출판
→ 가족이라는 자연적 집단에 소집단 행동의 사회심리학 이론을 적용
→ 자신의 치료방법을 ‘가족집단치료’ 라 명명
· 가족문제를 해결,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격려하기 위해 가족치료는 3단계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
1단계, 아동중심의 단계 : 아동의 참여 격려
2단계, 부모중심의 단계 : 자녀와 지내면서 자녀의 어려움에 반응하도록 격려
3단계, 가족중심의 단계 :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자극, 해결 격려
2.2 애커먼(Nathan Ackerman)
※ 애커먼(Nathan Ackerman), 그는 누구인가?
- 정신분석훈련을 받은 소아정신과 의사, 가족치료의 선구자 & 가족치료가
- 문제아동 치료과정에서 개인 장애문제도 전체 가족을 다루어야 함을 인식
『가족의 화합과 가족진단: 미취학 아동에 대한 접근(The Unity of the Family and Family Diagnosis: An Approach to the Preschool Child)』 (1938) → 이후 가족치료 운동에 영향
『Family Process』 (1962) 창간
『문제가족 다루기(Treating the Troubled Family)』 (1966)
→ 가족을 하나의 유기체로 인식하면서 이에 대한 치료 언급
뉴욕가족연구소 설립 -> 애커먼 사후 애커먼연구소로 개명
· 한계
- 가족에 대한 체계론적 접근이기 보다는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을 다루는 대신 개인의 확대된 집단에 대해 기술하는 정신분석적 모델을 보여줌
2.3 리츠(Theodore Lidz)
※ 리츠(Theodore Lidz), 그는 누구인가?
1) 정신분석이론에 기초,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의 역동성 연구
→ 父가 아동의 정신질환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주장
2) 병리적인 아버지의 역할 5가지 유형
① 권위주의적인 유형: 부부갈등 있으며, 지배적, 경직되어 있는 유형
② 아내의 애정을 끌기 위해 아들과 경쟁하는 유형
③ 과대망상 & 무관심하며 물리적으로 거리를 두는 유형
④ 인생에 실패하고 가정에서 투명인간처럼 지내는 유형
⑤ 소극적, 복종적이며 부모라기보다 아이처럼 행동하는 유형
-> 자녀의 동일시 대상으로 건강한 父 모델 필요함을 주장 / 그렇지 않은 父는 없는 것이 낫다고 결론
3) 정신분열증 환자 부모의 갈등적인 부부관계 밝혀냄
→ 역할 수행 부적절 / 상호 지지 부족한 부부 불화 유형
부부균열 (marital schism) | .부부가 서로에 대한 적응 or 역할 호혜성 실패 .남편과 아내 모두 만성적으로 적대적, 공격적 .자녀의 충성심 & 애정 위해 경쟁 . 결혼생활은 가족구성원 모두 상처받는 전쟁터가 됨 |
부부불균형 (marital skew) |
.한 쪽 배우자가 다른 쪽을 지배 (예: 극단적 의존형 . 병리적 폭력형 등) .지배적인 배우자의 병리적 경향 → 의존적인 배우자로 인해 촉진되면서 상호파괴적 관계 유지 |
4) 병리적 가족
- 자녀는 충성심 갈등 경험
- 자녀는 부모의 불안정한 결혼을 균형 잡아야 한다는 압박감 가짐
→ 자녀가 속죄양(scapegoat)이 되어 문제를 일으켜 부모의 불화를 가리고 부모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전환시키려 하며 자신의 발달 욕구 희생
예)
부부균열 유형 가족 - 딸이 정신분열증 보임 /
부부불균형 유형 가족 - 아들이 정신분열증 보임
2.4 윈(Lyman Wynne)
※ 윈(Lyman Wynne), 그는 누구인가?
- 정신분열증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과 가족역할에 대해 연구
- 국립정신건강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에서 정신분열증 가족 연구
=> 정신분열증 가족의 역기능적 가족 특성 발견
·거짓친밀성(pseudo-mutuality)
·거짓적대성(pseudo-hostility)
·고무울타리(rubber fences)
※ 중요개념
역기능적 가족의 특성 - 자신의 정체성 유지 욕구 vs. 관계 유지 욕구 간 균형 유지 실패
-> 친밀감, 애정, 적대감 혼재로 가족 간 의사소통 왜곡하며, 관계에 대한 현실적 지각과 합리적 사고 방해
① 거짓친밀성(pseudo-mutuality)
→ 가족 내 잠재된 분열과 갈등을 감추고 서로 친밀한 척 하는 것
→ 자신의 생각을 희생하면서까지 겉으로는 동의하고 일치하는 것처럼 행동
② 거짓적대성(pseudo-hostility)
→ 가족 갈등이 심한 것 같아 보이지만 이 갈등은 표면적인 형상에 불과
→ 친밀감, 애정, 적대감이 혼재된 상황에서 가족 의사소통 및 현실적 지각 왜곡
③ 고무울타리(rubber fence)
→ 가족의 심리적 경계가 고무줄처럼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등, 경계가 불안한 가족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개념
→ 가족 상담 중에는 치료자를 자신의 가족체계에 포함시키며 제안을 수용하는 것처럼 행동 but 상담과정이 끝나면 늘어난 고무가 본래 자신의 상태로 돌아가 버리는 것처럼 가족 역시 자신의 원래 경계로 돌아가는 가족
.고무울타리를 보이는 가족은 현실을 왜곡하는 측면을 교정하기 위해 외부 접촉이 필요하나 실제적으로는 그러한 접촉을 허용하지 않는 특성 보임
2.5 휘태커(Carl Whitaker)
※ 휘태커(Carl Whitaker), 그는 누구인가?
- 가족치료 선구자 중 가장 역동적, 혁신적 인물
- 공동치료(cotherapy)를 활용한 개척자로 평가됨
- 치료 장면에서의 경험을 통해 가족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으며, 이론 구축보다 치료기법 개발에 역점
1) 체계론적 관점에서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 진단
- 정서적인 결속력 부족, 심리적 공유 부재
- 개인의 성장
→ 가족의 공동체의식 + 결속력 중요
→ 확대가족까지 상담 상황에 포함 주장
2) 치료목표
→ 정서적 황폐함이 가족의 핵심 문제로 봄
→ 개인이 자신의 느낌을 개방, 가족 안에서 느낌을 공유하도록 조력
3) 상징적 가족치료라는 특유의 가족치료기법 창조
4) 가족치료협의회 조직
→ 각자의 가족치료과정에 대한 상호관찰
→ 일면경(one-way mirror) 사용이 효과적임을 발견
2.6 보스조르메니-내지(Ivan Boszormeni-Nagy)
※ 보스조르메니-내지(Ivan Boszormeni-Nagy), 그는 누구인가?
- 정신분석가에서 가족치료자로 전환한 학자
- 가족치료에 관한 맥락적 접근 개발
- 펜실베니아 정신의학연구소(Eastern Pennsylvania Psychiatric Institute) 설립하여 가족 연구
- 가족치료의 목표와 기법에 윤리규준 도입
1) 가족관계를 강화시키는 주요 개념
- 신뢰감, 충성심, 상호부조
. 치료자는 가족원 간 정서적 갈등 없이 가족관계가 권리와 채무의 대차대조표에서 균형 & 공평성 유지되도록 개입
2) 동료들과 다세대적 측면에 주목한 가족치료 발전시켰으며, 휘태커처럼 공동치료법 자주 사용
3) 『집중적인 가족치료(Intensive Family Therapy)』 (1965) 출판
2.7 보웬(Murray Bowen)
※ 보웬(Murray Bowen), 그는 누구인가?
- 정신분열증의 원인과 치료에 몰두하며 母子 간 공생관계에 대해 연구
. 원가족과 분화되지 못한 母가 생식가족 구성원과 융합을 이루어 안정 을 찾고자 하는데, 이때 선택된 자녀와 지나치게 밀착하면서 자녀는 정신분열증을 앓게 됨
1) 가족체계의 불안과 긴장의 원인
→ 부모 간 갈등, 원가족과의 미분화, 갈등의 세대 간 전이, 삼각관계 형성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서 가족체계에 불안과 긴장 일으킴
2) ‘가족치료’ 라는 용어를 논문에서 최초 언급
→ 1957년 미국정신예방학회에서 공식용어로 채택
2.8 래잉(Ronald Laing)
※ 래잉(Ronald Laing), 그는 누구인가?
- 정신병리학에서 가족의 역할을 대중화하는 데 상당한 기여
- 마르크스(Marx)의 기만(mystification) 개념 차용
· 기만
- 가정 내에서 갈등이나 반대 의견을 모호하게 하여 감추는 현상으로 가 족구성원 중 한 사람이 현재의 모호한 상태를 깨뜨리려고 할 때 갈등을 감추기 위해 가족구성원들이 시도하는 것
예) 자녀가 가족문제 지적할 때 부모는 그런 지적이 터무니없다는 식으로 자녀의 느낌이나 경험을 부정 → 자녀의 경험 왜곡, 타당성을 없애는 과정
1) 기만의 기능 - 현상 유지
2) 부모가 계속 자녀의 경험을 기만할 시 자녀는 자신의 존재 불신 받음
→ 자녀는 자신의 경험의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허위 자아(false self) 를 드러내고, 실재 자아(real self)를 감추게 됨
→ 실재 자아와 허위 자아가 극단으로 분열 . 정신분열증 유발
2.9 사티어(Virginia Satir)
※ 사티어(Virginia Satir), 그는 누구인가?
- 일생을 가족치료에 전념한 임상 사회복지사
- MRI(Mental Research Institute)에서 일하다가, 에살렌연구소(Esalen Institute)의 책임자가 되어 가족치료자 대상 강의와 훈련 담당
1) 가족치료에서 성장, 지각, 느낌 중시하고 특히 ‘감정과 의사소통’ 중시
2) 『공동가족치료(Conjoint Family Therapy)』 (1967) 발간
-> 가족치료 분야에서 기여한 바가 큰 인물 중 한 사람으로 평가 받음
· 주요 치료 관심사
- 가족원 각자의 자존감, 가족 간의 의사소통의 질과 양상, 가족의 행동과 정서적 표현을 규정하는 규칙, 가족과 사회의 연결 정도
2.10 미뉴친(Salvatore Minuchin)
※ 미뉴친(Salvatore Minuchin) , 그는 누구인가?
- 1960년대 가족치료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물
- 뉴욕 윌트위크(Wiltwyck)학교에서 비행청소년을 치료하면서 가족치료에 관심
→ 빈민가족에 대한 치료기법에 관심
1) 빈민가족에 대한 치료기법 발전, 지역 흑인공동체 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실시
→ 인종 & 소수 민족을 치료할 때의 문화적 차이점 해소
2) 구조적 가족치료 개발
- 가족 간 상호작용에서 반복되는 패턴화된 규칙성 or 구조를 관찰하는 것 으로 부터 가족치료 시작
3) 가족구조의 본질
- 가족원이 가깝거나 멀게 유지하는 정서적 경계로 결정
→ 가까움 : 밀착(enmeshment)
→ 거리 두는 것 : 유리(disengagement)
4) 정신적 문제가 신체장애로 나타나는 환자 가족에도 관심
예) 신경성 거식증 환자가족
5) 가족치료자에게 일면경(one-way mirror) 을 통한 치료 장면의 관찰, 비디오테이프 사용 장려 → 가족치료 과정 공개하여 가족치료 발전에 기여
6) 『빈민가의 가족(Family of the Slums)』
『가족과 가족치료(Family and Family Therapy)』 출판
2.11 베이트슨(Gregory Bateson)
※ 베이트슨(Gregory Bateson) , 그는 누구인가?
- 정신분열증이 가족 간 의사소통 실패에서 비롯된다고 봄
- 의사소통이론을 적용하여 가족 간 상호작용의 연쇄(sequence)과정을 분석
의사소통 : 보고(report) & 명령(command)의 두 가지 수준의 기능을 가짐
메시지: 메시지 내용 측면 + 메시지 수행되는 방법인 관계 측면 포함
1) 메타커뮤니케이션
- 말하는 사람이 관계를 규정하는 것 / 커뮤니케이션보다 높은 수준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알 수 있음
- 몸의 움직임, 자세, 어조, 태도, 얼굴 표정, 억양 등을 포함 하는 비언어적 신호 통해 이루어짐
→ 메시지 내용을 변화시키는 결과 가져옴
2) 이중구속 ?
- 1956년에 ‘이중구속(double-bind)’ 개념 도입
. 한 사람이 논리적으로 상호 모순되고 일치하지 않는 두 가지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는 것
※ 특성
① 두 사람 or 그 이상의 사람이 중요한 관계를 맺고,
② 관계성이 현재 지속,
③ 첫 번째로 한 가지 명령이 주어지고,
④ 두 번째 명령은 처음 명령과 상충, 더 추상적, 비언어적
⑤ 개인은 그 장면에서 명령을 벗어나지 못하며, 반응을 해야 함
⑥ 희생자는 결국 이중구속으로 세계를 지각하도록 조건화됨
3.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시대별 발달과정
3.1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아기(1930년대~1950년대 이전)
※ 발아기 (1930년대~1950년대 이전)
1) 개인만 고려, 가족을 치료에 개입시켜야 한다는 인식 x
2) 결혼적응, 이혼 등 가족 연구
→ 가족생활교육(family life education) 운동에 응용
→ 미국가족관계학회(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조직 & 학술지 간행
3) 제 1, 2 차 세계대전 & 대공황 : 가족문제가 사회문제화 됨
→ 예비부부교육, 결혼상담, 부모교육, 부부교육, 부부상담 등 활발히 진행
4) 1950년대 이전: 정신분열증에 초점(환자와 그 가족을 연구)
5) 사회복지사: 빈곤계층의 기본 욕구 충족 + 가족의 정서적 긴장 완화에도 도움
3.2 가족상담 및 치료의 형성기(1950년대)
※ 형성기(1950년대)
1) 정신분석적 흐름에 반대하는 정신과 의사들에 의해 가족치료가 소개, 발전
예) 보웬, 애커먼, 윈, 잭슨, 리츠 등의 정신과 의사
2)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에 대한 연구
→ 가족치료의 효과와 실용성을 인식시키는 결정적 계기
3) “개인이 보이는 증상 → 가족이 가지고 있는 증상과의 상호작용 결과”
=> 가족치료가 형성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
4) 1950년대 중반: 정서적 역기능의 단위로 ‘가족’ 을 보는 견해가 주류 but 연구자들간의 상호 교류는 x
5) 밀톤 에릭슨(Milton Erikson): 1950년대 가족치료 발전에 영향
→ 가족생활주기적 관점에서 문제를 보고 증상에 초점을 둠
→ 직, 간접적으로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치료자의 적극적 접근 강조
※ 이 시기 연구자들은 네 집단으로 나누어짐
(1) Clark대학교의 Bell - 가족집단치료
(2) Palo Alto의 Bateson, Weakland, Haley, Jackson, Satier - 의사소통 가족치료
(3) 뉴욕의 Ackerman - 정신분석적 가족치료(아동치료에 가족 면담)
(4) Menninger 병원과 NIMH(국립 정신건강 연구소)에서 Bowen - 정신분열증 환자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공생관계 연구
- 그 외에 Lidz, Whitaker, Wynne 등이 있음
=> 가족 내 상호작용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과 용어 발전시킴
예) 역기능적 의사소통, 이중구속, 가족친밀성, 융합, 삼각관계, 경계 등
3.3 가족상담 및 치료의 확대기(1960년대)
※ 확대기(1960년대)
1) 가족치료에 대한 관심이 매우 고조된 상태
2) 가족치료 → 정신장애의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인정되기 시작
(but 다수의 치료자들은 여전히 개인치료를 선호)
3) 치료대상의 확대: 정신분열증 환자가족 + 빈곤가족과 소수민족가족도 포함, 지역사회건강센터 등에서도 치료가 이루어짐
4) 미뉴친에 의해 구조적 가족치료이론 발달
5) 가족치료자 교육과 훈련 관심: 대학과 치료기관에서 워크숍 실시
6) 『Family Process』 출판
7) 미국 외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 가족치료 연구서 설립 & 발전
3.4 가족상담 및 치료의 정립과 혁신기(1970년대)
※ 정립과 혁신기(1970년대)
1) 체계이론에 입각한 가족치료가 많은 호응 & 가족치료 이론, 기법 확대
2) 체계이론을 토대로 한 접근법
→ 구조적 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 보웬의 다세대 가족체계적 접근, 밀란(Milan) 모델 등
3) 다중가족치료, 다중영향치료, 네트워크치료, 가족위기치료, 행동주의 가족 치료 등이 개발
4) 가족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검증 시도되고 연구결과 발표
5) 가족치료에 관한 문헌 다량 출판, 전문 가족치료자 모임 활성화
6) 미국 가족치료학회(American Family Therapy Association) (1977) 미국 부부 및 가족치료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Marriage and Family) (1978) 조직
→ 가족치료에 대한 훈련 & 전문가 자격 규정
7) 애커먼의 사망 후 정신분석학적 관점 퇴조, 체계이론적 관점 발전
MRI: 단기 전략적 가족치료 발달시킴
8) 1970년대, 캐나다와 유럽, 특히 이탈리아 & 영국에서 가족치료 성장
3.5 가족상담 및 치료의 성장과 전문화기(1980년대)
※ 성장과 전문화기(1980년대)
1) 가족치료가 정신과 치료기법 중 확고한 지위 갖게 됨
2) 각 가족치료 학파의 개념, 이론, 기법 종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남
예)
해결중심 모델(solution-focused model) 등장: MRI와 전략적 치료에 영향
→ 드 세이저(de shazer) & 김인수 부부를 중심으로 발전
→ 문제보다 해결에 초점
3) 심리교육 모델(psycho-education model) 등장(대표적 인물: 앤더슨)
→ 치료보다 교육을 강조, 가족의 스트레스 감소에 초점
→ 부모와 가족의 대처능력 & 기능 최대화로 재발 예방에 목적
4) 가족치료 관련 전문 학술지와 가족치료연구센터 확대
5) 캐나다, 영국, 이스라엘,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일본, 홍콩,한국)에도 보급
3.6 가족상담 및 치료의 통합기(1990년대)
※ 통합기(1990년대)
1) 다양한 가족치료 모델 소개, 각 가족치료 기법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 이루어짐
2) 가족치료 기법이 통합되는 경향을 보임
3) 체계론적 접근에 경도되는 경향에 대한 성찰 + 개인의 내적인 면과 상호작용 측면에 대한 탐색 주장 + 내담자의 관점을 존중하는 경험주의적 모델에도 관심
4) 사회구성주의적 가족치료 모델에도 관심 증대
→ 기존 치료자 중심 모델이 치료자의 편견이나 선입관에 의해 가족치료를 왜곡시킬 수 있다고 지적
→ 전문가의 오만, 권위주의적 태도로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지적
5) 가족구성원의 현실을 언어 or 이야기 속에서 찾으려 함
(현실은 객관적 현실 보다 개인이 의미를 부여하면서 구성되어 간다고 봄)
4.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4.1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1) 1970년대에 가족치료 개념 도입 ← 사티어의 공동가족치료(Conjoint Family Therapy) 책이 소개되면서 학계와 현장에서 가족치료적 접근방법이 거론되기 시작
2)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에 최초 가족치료 과목 개설(1979)
3) 현장: 국립정신병원에서 가족치료 기법 최초 적용
4) 1983년 가족치료기법 본격 활용
5) 1988년 한국가족치료학회 결성 → 독자적으로 가족치료사 자격증 발급
6) 그 외 한국가족치료연구소,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김영애의 가족치료연구소 등 다수의 연구소 및 상담소 개설
4.2 나오면서
※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전 방향 및 미래
1) 가족상담 및 치료는 다양한 학자와 임상가들의 노력 속에서 발전
2) 한국의 경우 다양한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임
3) 각 연구소마다 양성된 다른 전공 분야의 가족상담자나 가족치료사 간의
4) 원활한 소통문제가 해결해야 할 과제
=>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한국적인 가족치료 모델이 지속적으로 개발, 보완되어야 함
'가족상담 및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6. 구조적 가족치료 (3) | 2022.09.20 |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5. 전략적 가족치료 (8)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4.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2 (3)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3.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5) | 2022.09.18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 가족상담 및 치료 (3)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