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목차>
01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발달배경
02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기본 원리
03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주요 개념
1.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발달배경
1.1 이론 발달 배경
1) 보웬(Bowen), 그는 누구인가?
- 미국 테네시(Tennessee)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정신과 의사
정신분열증 아동 치료 → 가족에 대한 중요성 인식
① ‘모-자(母-子) 간 공생 관계 발견
② 미성숙한 어머니는 감정적 욕구를 채우기 위해 아이와 공생 관계를 맺음
- 가족치료 기법 개발 + 가족치료 이론 정립에 큰 업적 남김
※ 보웬의 이론적 기여
1) 정신분석적 접근 & 체계적 접근 사이의 교량적 역할
2) 가족을 다세대 현상으로 봄
- 다세대에 걸친 가족체계의 분석을 통해 현재 가족의 문제를 파악
3) ‘정신질환’ 이라는 말보다 ‘정서질환’ 이라는 용어로 대체 사용
4) 우리 삶에 ‘만성불안(chronic anxiety)’ 은 항상 존재한다고 가정
· 만성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은 분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봄(연속적 사고)
2.1 기본 원리
1. 기본 원리
1) 기본원리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이론은 정서 모델에 기초
→ 정서 : 인간을 움직이게 하고 생존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힘
※ 연합성(togetherness) & 개별성(individuality) 으로 분류
연합성 | . 가족 안에서 서로 정서적으로 얽혀 지내고자 하는 속성 →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고 연결되어 서로의 자극에 민감 하게 반응하는 생물학적인 힘 |
개별성 | . 가족으로부터 독립하고자 하는 속성 → 자신의 삶의 방향을 스스로 정하고 추진하는 생물학적인 힘 |
예)
모-자녀 간 공생 관계: 분화되지 않은 가족자아집합체를 더 강화
→ 가족의 기능이 역기능적으로 됨 예
. 가족
→ 분화되지 않은 자아덩어리 / 다세대 간 분석과 역사적 관점 통해 이해될 수 있다고 봄
. 보웬은 모-자 공생 관계에 대한 틀로부터 6+2가지 주요 개념 완성
→ 자아분화, 삼각관계, 핵가족의 정서체계, 가족투사과정, 다세대 전수과정, 출생순위 + 정서적 단절, 사회적 정서과정
. 위의 개념들은 독립된 개념 x, 서로 맞물려 있는 개념임
3.1 주요 개념
1. 자아분화 (differentiation of self)
1) 개념 정의
. 자아분화 : 보웬 가족치료이론의 치료 목표 & 성장 목표
. 정의 : 어린아이가 어머니와의 융합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의 정서적 자주성을 향해 나아가는 장기적인 과정이며, 세대를 거쳐 재생산됨
정신 내적 측면 | 지적 기능이 정서적 기능에서 얼마나 분화되어 있는가 의미(분화된 사람 : 사고 vs. 감정의 균형) |
대인 관계적 측면 | 확고한 자아를 발달시키지 못하고 거짓자아가 많은 비중 차지하며, 일관된 신념 부족, 독립된 행동 x(미분화된 사람 : 자율성, 자주성 부족하며, 타인과 융합하려는 경향 보임) |
. 정신 내적인 측면 < 대인관계적 측면 중시
. 자아분화수준의 정도
: 참자아(solid self) vs. 거짓자아(pseudo self)의 비례로 나타냄
참자아 (solid self) |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를 가지며, 타인과의 관계 or 외부 영향으로부터 쉽게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짐 |
거짓자아 (pseudo self) |
주변의 상황이나 압력, 감정에 의해 자신의 모습이라고 믿는 자아 |
. if 거짓자아 > 참자아
→ 자신의 감정, 태도, 생각 등 자신의 입장 표현 x, 관계에 따라 자신의 모습 바꾸는 등 비일관된 가치 or 신념 가짐
→ 불안 or 변화 경험 시, 정서적 반응의 지배를 받아 충동적으로 행동하며, 개인의 변화를 시도하는 능력을 상실
. But 자아분화수준 ≠ 정서질환 or 정신병리를 측정하는 기준
. 자아분화수준 ≠ 성숙수준
. 자아분화
→ 개인의 자아가 가족자아 집합체에서 얼마나 분화되어 있는가를 사정하기 위한 이론적 척도로 활용
→ 모든 사람을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범주화하는 방법으로 사용
→ 정상(normal) 개념은 x
(예: 자아분화 정도가 낮아도 스트레스 없이 일상 생활하는 경우도 有)
2) 자아분화 지표
.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감정이 자신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정도
. 가족 또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지 않으면서도 그들에게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정도
.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그 집단이나 가족의 일원으로서 남아있을 수 있는 정도
. 불일치, 적대감, 소외에 직면하면서도 정직하게 남아있을 수 있는 정도
. 다른 사람들의 책임에 얽혀 들어가지 않으면서 그들을 책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 정도
.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그들과 친밀감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
. 반사적인 감정행동을 하지 않고 지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정도
3) 자아분화 수준별 특성
※‘이론적 자아분화의 범위’ - 0 ~ 100 까지 단계적으로 구분
0~25: 감정과 사고의 융합이 심하며,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반사 행동을 함.
-> 일상생활이 어려움
25~50: 인정에 대한 기본적 욕구가 있으며, 좌절 시 불안한 감정반사 행동을 함.
-> 갈등 회피, 의존적, 자율적 능력 부족
50~75: 사고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는 편이지만, 불안 정도가 높으면 일시적으로 융합 경향 보임
75~100: 명확한 가치와 신념을 가지며, 목표지향적 & 융통성과 자율성을 가짐
2, 삼각관계 (triangles)
1) 개념 정의
. 가족 내 불안과 긴장을 해소하는 정서적 역동방식
. 어떤 두 사람이 사물이나 제3의 인물을 자신들의 정서적 문제에 끌어들이는 형태
예) 부부가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자녀를 끌어들여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
→ 상처받기 쉬운 성향을 가진 자녀가 선택되며, 이 자녀는 다양한 측면에서 부적응 양상 보임
. 삼각관계 형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 : ‘불안’
. 가족 안에서 더 이상 삼각관계를 만들 수 있는 인물을 찾을 수 없을 때, 가족 이외의 사람 or 활동과 형성하기도 함
예) 부부갈등이 심한 경우 취미생활에 몰두
※ 삼각관계로의 이동과정
3. 핵가족 정서체계 (nuclear family emotional system)
1) 개념 정의
. 가족들이 감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정도
→ 부부의 분화 수준에 따라 정서 분위기 결정됨
※ 초기에는 미분화된 가족자아 덩어리(undifferentiated family ego mass)로 표현
→ 이후 핵가족정서체계로 대체 사용
. 원가족과 분화되지 못한 부모
→ 원가족과 정서적 단절을, 생식가족과 융합 속에서 안정을 찾고자 함
→ 융합으로 인해 공동자아가 불안정하게 유지(특히 자존감이 낮은 경우)
→ 부부 간 정서적 거리감 증가 / 자녀에게 문제 투사
① 부부의 분화수준이 높을 경우
- 정서적 융합은 ↓ & 부부관계 내에서 신뢰와 성실, 상호 존중 등의 요인에 의해 분화가 더욱 강화
② 부부의 분화수준이 낮을 경우
- 상대에 대한 감정적 의존욕구 ↑ & 상대가 만족시켜주지 못할 때 불만과 두려움 고조
※ 핵가족의 정서체계가 강한 4가지 경우
① 정서적으로 유리된 상태 : 부부 사이가 감정적으로 멀어지며 감정반사 행동 多
② 부부 중 한 사람이 신체적 or 감정적으로 역기능 또는 부적응 상태
③ 부부 간의 충돌이 잦고, 갈등이 심해 주변 사람 중 누구든지 부부갈등 인식
④ 부부 간에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녀 중 한 사람 or 여러 자녀들에게 투사
. 핵가족 정서체계 내의 미분화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을 다루는 기제 의미
→ 가족들이 자신의 불안을 다른 가족구성원에게 투사하는 과정
→ 자아분화수준이 낮은 가정의 경우 투사 경향이 심함
. 투사 대상이 된 자녀 역시 자아분화가 낮게 이루어지게 됨
→ 미분화의 과제는 세대를 걸쳐서 전수
. 투사의 대상이 되는 자녀는 부모와 삼각관계 형성
→ 가족의 역기능적 순환고리는 지속적 반복
4. 다세대 전수과정(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1) 개념 정의
. 세대를 통해 가족의 정서과정이 전이되는 것
. 미분화 가족 문제 → 특정인에게 투사 → 또다시 미분화 등 미분화 상태가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
. 미분화 상태가 세대 간 전이되면 정신분열증 or 정서적 질환 앓게 될 가능성 ↑
=> 정신분열증 or 역기능의 문제는 가족체계에서 누적된 자아의 미분화의 결과
5. 출생순위(birth order)
1) 개념 정의
. 윌터 토만의 출생순위에 관한 이론을 적용
← 다른 환경의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출생순위가 같으면 비슷한 성격을 가짐
예) 장남 or 장녀 - 권위적, 규칙 집착 예
. but 토만은 생물학적 출생순위 중시 vs. 보웬은 기능적인 출생순위 고려
→ 출생순위와 불안 관계 관찰
예)
① 첫째 자녀가 사망 or 질병으로 장남 노릇을 못할 경우, 차남이 장남역할
② 형제의 나이차이가 8살 이상이 난다면, 첫째 자녀는 외동이 특성 有
∴ 가족체계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기능적 출생순위)가 중요
6. 정서적 단절 (emotional cutoff)
1) 개념 정의
. 친밀한 관계를 맺어 생활해야 할 사람들끼리 정서적으로 어떠한 네트워크도 가지 않으려는 것 ← 정서적 의존성과 불안이 높은 가족 안에서 발생
. 정서적으로 단절된 상태로 지내는 이유
→ 관계를 맺음으로써 자신의 주체성을 잃게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불안이 가중되어 정서적 긴장 상태를 유발하기 때문
. 과거로부터 단절이 심할수록 자신의 결혼생활에서 부모의 가족문제를 과장하려는 경향이 많음
예)
원가족과의 정서적 단절의 예: 충동적으로 결혼을 선택한 사람
→ 원가족에서 벗어난다 하더라고 진정한 독립 x, 원가족에서의 문제를 재연
7. 사회적 정서과정 (social emotional process)
1) 개념 정의
.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관계가 가족구성원들의 정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가족투사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됨)
①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사회관계 훈련을 받게 되면 → 분화수준 ↑
② 사회에서 지속적 스트레스 & 자신의 독립된 생각대로 행동 못하면 → 분화수준 ↓
. 사회적 퇴행 : 불안에 의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위기에 빠지는 상황
← 사회적, 정서적 과정의 부정적인 결과물임
'가족상담 및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6. 구조적 가족치료 (3) | 2022.09.20 |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5. 전략적 가족치료 (8)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4.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2 (3)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2.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4) | 2022.09.18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 가족상담 및 치료 (3)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