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강. 구조적 가족치료
1.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배경
1.1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발달 배경
※ 미누친(Minuchin), 그는 누구인가?
- 아르헨티나 태생
- 구조적가족치료의 선구자
- 뉴욕근교 윌트위크 학교에서 비행청소년 교정
← 하층가족에게는 의사소통이론이 잘 적용되지 않으며, 치료자의 지시적, 적극적 개입이 중요함을 발견
→ 기법중시/ 진단과 치료과정에 명쾌한 지침제공
- 1974년『가족과 가족치료』를 출판
- 1981년 뉴욕, 가족학연구소(現미누칚가족연구소)를 설립
1. 이론적 배경
Minuchin - “가족구조가 변하면 그 구성원의 행동과 내면의 심리과정이 변화한다.”
1) 구조적가족치료 - 가족의 상호작용 패턴을 가족구조의 개념으로 설명
- 가족의 상호작용도 일정한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핵심
- 역기능적인 가족인가에 관한 명확한 지도(map)제공
- 치료자 → 가족의 일원으로 합류, 가족을 재구조화 하기 위한 치료적 개입시도
2) 구조적가족치료 → 비행청소년가족, 거식증홖자가족, 약물or 알코올중독자가족,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가족치료에 특히 효과 입증
3) 문화적으로 다양한 가족에 적용
→ 아시안 가족,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가족 등의 가족문제를 사정& 치료 하는데 효과적
2. 구조적가족치료의기본원리
2.1 구조적가족치료의기본원리
※ 기본원리
① 체계론적 시각에 근거, 체계의 역동성을 강조
② 가족내 하위체계의 구조, 경계 등이 어떻게 교류하고, 행동을 어떻게 규정 하는가를 확인해가는 치료 방법
※ 구조적가족치료의 3가지 주요원리
① 사회적 상황 ⇆ 개인의 정신생활
② 가족구조의 변화 = 체계구성원의 정신내적과정 & 행동변화 야기
③ 치료자가 내담자 or 내담자 가족과 일할 때 그의 행동은 사회적상황의 일부가 됨
- 과거, 현재 모두 중시 하지만, 현재에 초점을 두고 치료
- 가족원의 병리적 행동은 잘못된 가족구조를 바로잡으면 사라진다고 봄
→ 가족규칙, 위계, 밀착과 격리, 연합 등을 중시
- 타이론에 비해 간단하고 실제적, 유용한 기법제공
→ 특히 한국가족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시각제공
3. 구조적가족치료의주요개념
3.1 구조적가족치료의주요개념
1. ‘가족구조’ 란 무엇인가?
※ 가족구조
① 가족구성원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조직화하는 보이지 않는 기능적 요구
② 반복적이고 체계적
→ 예측가능한 가족의 행동양식
③ 가족의 상호교류 패턴으로 관계양상 파악가능(친밀, 소원, 적대등)
가족구조 - 가족원의 행동양식 규정
※ 행동양식 규정제한 요인
① 보편적인 요인 - 대부분의 가족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규범체계
예) 남편이 지나치게 간섭하면 아내는 뒤로 물러서는 경향
② 특수한 요인 - 특정한 가족이, 특정한 상호교류 유형을 발전시킴 으로써 가족원의 행동을 규제 하는 것
예) 거실에 TV대신 책과 책장, 책상 등을 배치→ 특수한 상호교류 유형을 발전시킴
2. ‘하위체계’ 란 무엇인가?
※ 하위체계
1) 가족역할을 수행하기위해 한명or 그이상의 가족구성원과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일정한 형태
2)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볼 때, 가족 안에는 다양한 하위체계(subsystem)가 존재
※ 각각의 하위체계는 고유한 규칙 & 기능 & 위계질서를 가짐
① 부부체계 > 부모체계 > 자녀체계
② 상위체계는 전체가족에 대한 의사결정권을 가짐 & 가족구성원의 행동 통제하는 규칙을 만들고 시행
③ 이런 위계질서가 무너질 때 가족구조에 문제발생
가. 부부 하위체계
① 두 사람의 결혼과 더불어 형성
② 각자 원가족의 영향에서 어느 정도 독립& 분화되어야 부부체계가 건강
③ 부부 하위체계의 주요과업은‘협상’ 과‘조정’
④ 부부는 각자의 능력, 자원, 고유성을 서로 존중 & 지원
→ 서로의 성장 및 자아실현에 상호지원
※ 부부 하위체계의 기능
→ 성, 사랑, 친밀감 등 과 연관
→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위해 가족내 다른 체계로부터 적절히 보호 받아야 함
나. 부모 하위체계
① 부모 하위체계는 자녀가 있을 때 형성
② 주요기능 - 자녀양육, 지도, 통제등
③ 건강한 가족 - 부모 하위체계 & 부부 하위체계가 분리되어 존재
④ 부모 하위체계의 기능 - 자녀연령 or 발달단계에 따라 달라짐
⑤ 부모가 각자 자녀양육방식에서 차이를 보일 때
→ 서로협상 & 조정을 통해 일치된 훈육과 지원 제공
⑥ 부모의 적절한 애정과 통제는 매우 중요
다. 부모-자녀 하위체계
①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체계, 아버지와 아들, 어머니와 딸, 아버지와 딸, 어머니와 아들로 구성된 체계 포함
② 세대가 다른 사람으로 구성 된다는 특징
③ 중요한 측면 - 위계구조를 확립 하는 것
④ 부모는 자녀에게 적절한 권위와 통제를 활용 해야함
(⇔ 지나치게 밀착, 소원, 권위행사x )
라. 자녀 하위체계
① 동일한 세대에 속한 형제자매로 구성
② 자녀들은 서로지지, 분화, 희생하는 법을 배움
③ 자신의 위치와 대등하지 않은 세력과의 관계에서 협동 & 협상, 서로간의 차이& 갈등해결, 상대방에 복종, 자신을 보호, 체면을 지키는 법 등을 배울수 有
(but 외동아이→ 또래와 함께 나누고 경쟁하고 협동하는 능력은 부족)
④ 기능적 자녀 하위체계 → 부모에 대항하여 자신들만의 세계 & 흥미 개발. 확립, 사생활 보호, 시행착오의 자유확립 할 수 있어야 함
3. ‘경계선’ 이란 무엇인가?
- 체계영역을 구분, 체계와 환경사이에 있는 막or 테두리로 작용
- 가족원간의 접촉의 양을 결정하는 일종의 칸막이, 체계의 분화를 보장
※ 경계선
① 가족규칙과 관련
② 하위체계 경계선들은 모호 or 분명함 or 경직되어 있는 정도에 따라 가족의 기능에 영향
③ 경계선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 개인 or 하위체계간 친밀함정도, 정보의 상호교환정도, 문제해결 위해 상호 교류하는 정도 등
※ 가족 경계선의 특성
----------- 경직 된 경계선(rigid boundary)
,,,,,,,,,,, 애매한경계선(diffused boundary)
ㅡㅡㅡㅡㅡㅡ 명료한경계선(clear boundary)
============ 참여(involvement)
----ㅓ ㅏ---- 갈등(conflict)
≡ 과다참여(overinvolvement)
} 연합(coalition)
⇒ 우회(detouring)
※ 가족경계선의 범주
※ 경계선의 범주별 가족의 특성
① 경직된 경계선
- 가족구성원간 감정적인 교류가 없는 상태, 서로 개입하지 않고 유리 됨
- 지나치게 독립적, 자율적 → 의사소통의 어려움, 가족의 보호기능 수행이 어려움
- 가족원들은 홀로 보내는 시간 or 분리된 공간선호
- 개인적인 의사결정, 각각의 친구, 다른 취미생활
- 가족원들간에 관계 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문제해결에 제약을 받음
② 밀착된 경계선
- 가족구성원간의 심리적경계가 애매, 지나친 일체감 강조
-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개입되어 있는 가족구조
- 개인시간 or 공간은 허락x , 가족전체의 의사결정 중시
- 신체적, 정신적 독립성과 개별성 허용x → 지나친 관심과 간섭
- 한 가족원의 긴장은 다른 가족원에게 빠른 속도로 전해져, 가족전체가 위기에 빠질수 있음
③ 명확(명료)한 경계선
- 가장 기능적이고 바람직한 경계선
- 가족원은 자율적& 독립적
- 필요할 때면 서로의 안녕과 행복을 위해 협동& 지지하여 서로의 삶에 관여
- ‘우리’ 라는 집단의식과 함께‘나 자신’ 이라는 감정을 잃지않음
-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상적인 경계선을 고려할 때, 가족이 직면할 발달상황 or 스트레스상황을 고려해야하며, 경계선의 조절 필요
※‘경계선’ 의 특성에 따른 역기능
역기능적 상황
① 기능적 경계선의 침범(violation of functional boundary)
- 부모역할이나 자리를 대신해온 자녀가 경험하는 사례
예) 편부나 편모가족의 자녀일 경우, 부모의 정서적 갈등 or 어려움을 달래는 애어른의
역할을 담당 but 편부 또는 편모가 재혼할 경우,
- 다시 자녀라는 자리를 찾아가는 것 자체를 거부 or 부적응을 호소하는 경우발생
편모(편부) 부모의 역할을 하는 자녀
다른 자녀들
역기능
② 안정된 연합(stable coalition)
- 가족내 두 사람이 다른 한사람을 배타적으로 밀어내면서 두 사람사이에 정서적으로 밀착된 관계를 형성
- 안정연합은 위나 아래세대 어느 방향으로든 일어날 수 有
- 연합에 참여하고 있는 자녀
→ 자신의 발달과제보다 부모의 세계 or 어른의 세계에 깊이 관여
→ 자신의 발달단계에서 경험한 발달 과제 놓치며 어른들의 발달과업을 부정적으로 봄
③ 삼각관계(triangulation)
- 서로 갈등하고 있는 두 사람이 똑같은 제3자(보통자녀)를 통해서 상대방을 제압 하려고
하는 연합관계
- 자녀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상대방에 대해 자신의 우위를 주장 하려고함
- 자녀는 양립되지 않는 부모의 의견을 동시에 들어야 하고 심리적 위로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심리적부담과 스트레스 받음
→ 자녀가 가족의 희생양이 됨
4. ‘위계구조’ 란 무엇인가?
※ 위계구조
① 위계구조는 집이라는 물리적구조의‘층’을 비유로 들어 설명할 수 有
② 효율적인 위계구조는 가족 내 권력(power)을 기반으로 함
③ 가족 내 권력 →‘권위’ & ‘책임’ 과 관계
권위 - 결정권자가 누구인가?
책임 - 누가 그 결정을 수행 하는가?
⇒ 하위체계의 기능 및 경계선과 관계가 有
2.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1.1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 치료목표
1) 치료목표 - 가족구조를 변화 → 일반적으로 증상이라 불리는 문제 해결
- 즉, 가족의 조직(가족구성원의 증상이 발전된 사회적 맥락)을 변화
2) 구조적 가족치료
→ 치료자가 문제를 직접 해결 x, 가족구성원들 스스로 해내도록 도움
3) 치료목표 달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① 가족 위계구조를 적절히 확립한다
② 부모가 연합한다
③ 부모의 연합 → 자녀들은 형제자매 체계로 기능할 수 有
④ 부부 하위체계는 부모 하위체계와 분리되어 존재한다
⑤ 분명한 경계선을 갖도록 돕는다 (경직 or 분리된 가족일 경우)
⑥ 개인 or 하위체계가 서로 분화하도록 돕는다
1.2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 치료과정
치료자가 가족에 합류 => 치료자가 가족의 구조 확인 => 가족구조를 변화 / 재구조화
1) 합류 (joining)
① 치료자가 가족의 조직과 상호교류 유형을 있는 그대로 수용 & 가족의 강점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가족체계와 관계를 맺는 행동
② 치료자가 가족에 합류핚다는 것 → 가족 상호작용의 일원이 된다는 것
③ 외부인의 관점이 아닌 그 문화의 일원으로 그 문화를 이해하려는 과정과 동일
④ 치료자가 가족의 정서체계에 적응
⑤ 치료적 관계형성을 위한 치료자의 자발적 행동
2) 가족의 구조 확인
① 가족구조를 파악하는 작업 → 가족의 일반 특성을 파악하는 작업에서 시작
② 가족구조 - 가족의 상호교류 과정을 치료자가 관찰을 통해 파악 가능
예) 가족이 치료실에 들어올 때 보이는 상호작용 방식은 중요한 단서
③ 치료자가 ‘실연화(enactment)’ 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有
← 치료자가 가족에게 요청하여 치료실에서 실제로 행동해 보이도록 하는 것
④ 가족이 치료실에서 ‘자리에 앉는 위치’ 도 중요 단서(동맹, 연합, 중심, 소외 드러남)
3) 가족의 재구조화
※ 가족의 재구조화를 요하는 네가지 스트레스 상황
① 한 가족원이 가족 외부세력과의 접촉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② 가족 전체가 가족 외부 세력과의 접촉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③ 가족이 가족생활주기상의 과도기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한 경우
→ 임신, 출산, 자녀입학, 사춘기, 자녀의 독립과 결혼, 은퇴 등
④ 가족의 특수한 문제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해야 한 경우
- 질문, 실연화, 관찰, 자리배치, 스트레스 상황 등을 통해 가족구조를 확인한 후 가족의 재구조화
→ 가족의 경계선 조정, 하위체계 본래의 기능 지원, 위계구조 확립
1.3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 치료자의 역할
· 가족구조의 개념에 대한 지식 & 신념을 가짐
· 가족구조를 나타내는 가족의 상호교류와 그 유형 관찰
· 이 가족의 이상적인 구조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함
· 치료자는 지도자 역할, 가족에 합류, 수용하며 존중하면서 가족의 상호작용에 적응
· 치료자는 개입함으로써 변화되기를 원하는 바가 치료 시 일어날 수 있도록 도움
· 가족구성원들이 새로운 방법을 시도할 수 있도록 도우며, 그들의 시도와 성공을 인정 & 칭찬함
· 치료에 앞서 가족지도(family map) 그림
← 현재 기능상의 어려움이 있는 가족관계 유형을 기술하는 그림
치료자는 관찰과 질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가족 상호작용 유형과 경계선 파악
→ 역기능적 구조를 재구조화할 수 있는 가설 세움
· 이러한 토대 속에서 치료 목표 세움
※ 치료기법
1) 합류를 위한 기법
합류(joining) - 치료자가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은 치료자를 이해하는 과정
← 가족치료 초기에 치료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을지, 가족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를 결정할 만큼 중요한 기술
① 적응하기(accommodation)
- 기존의 가족구조를 지지하면서 참여하는 치료자의 활동
→ 기존의 가족체계를 인정, 지지해주면서 가족이 편안함을 느끼게 함
- 가족의 전체 구조뿐 아니라 가족의 하위체계에 대한 승인과 지지 포함
예) 어머니의 지도력이 강한 가족에 합류할 경우, 어머니의 그러한 위치를 인정, 어머니를 통해 자녀와 접촉하는 것
- 가족원 개인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예) 가족원 개인의 장점 & 가능성을 인정, 지지 or 특정 가족원의 위치를 지지
← 이러한 가운데, 가족의 역기능적인 측면을 가볍게 언급
② 추적하기 (tracking)
- 가족들의 행동양식과 언어형태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치료자의 활동
- 치료자는 가족들이 말하는 대화의 내용을 추적해 가면서 가족들의 상호작용과 구조를 탐색하는 것
- 치료자는 지지자, 촉진자의 역할 수행
예) 명료화 하는 질문, 인정해 주는 말, 중요한 요점을 확대하는 것 등
→ 가족으로 하여금 새로운 행동으로 이끔
③ 흉내내기 (mimicking)
- 치료자가 가족의 생활방식과 정서 상태에 적응하기 위해 가족이 사용하는 언어, 몸짓, 대화 방식 등을 그대로 따라하는 기법
예)
남편 - “제 아내는 성격이 참 급해요.”
치료자 - “저도 성격이 불 같은 여자와 살고 있지요”
- 치료자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면서 치료자는 쉽게 가족의 하위체계가 됨
→ 치료자는 가족의 상호작용을 파악, 이해하기가 용이해짐
2) 이해를 위한 기법
① 실연화(enactment)
- 가족에게 가족구성원 간의 역기능적 교류를 실제로 재현시키고, 역기능적 상호작용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을 가족들이 행동을 통해 연기하게 하는 방법
※ 행동으로 실연함으로써 오는 효과
① 치료자와 가족들 사이에 치료동맹 촉진
② 가족들은 역기능적 상호작용을 분명하게 보면서 가족체계 변화의 필요성 인식
③ 가족들에게 새로운 상호작용과 구조를 실험할 수 있는 여건 마련됨
② 의사소통 재연 및 공간적 활용
- 치료자는 가족의 의사소통을 조장할 수 있는 기법을 적극 활용해야 함
- 자리배치(positioning)는 가족간 상호작용 유형을 파악할 수 有
지나치게 밀착된 경우 - 가깝게 앉으려 함
소원할 경우 - 멀리 떨어져 앉으려 함
삼각관계를 형성하는 제3의 인물 - 두 사람 사이에 앉게 함
→ 공간 활용을 통해 역기능적 상호교류 차단 or 강화시켜 나감
3) 가족구조의 변화/재구조화를 위한 기법
① 재정의(reframing)
- 상황이나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을 변화시키거나 본래 의미를 변화시키는 기법
- 가족들은 직면하게 되는 사건 or 상황을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볼 때 더욱 관계가 악화됨 but 잘못된 행동 이면의 좋은 동기 부각시키고, 긍정적, 건설적 시각으로 볼 경우
→ 가족의 행동 or 가족관계를 새롭게 인식
예) 어머니가 항상 공부하라고 잔소리하는 것이 자녀에게 문제가 될 경우 어머니의 입장에선 자녀를 향한 관심을 표현한 것이라고 재정의 가능
② 세대 간의 경계 지지하기 (supporting general boundaries)
주요 전제 - 가족이란 위계적인 체계, 각 구성원이 적합한 위치에 있을 때, 기능적인 가족이 됨
치료자 → 가족 내 위계질서의 보호 위해 자녀 & 부모 분리, 세대 경계선 강화
- 치료자는 가족 내 위계적인 경계선을 방해하는 요인을 관찰, 구조적 변화를 만들어 구성원들을 이동
※ 세대 간의 경계를 분명히 하는 행동
- 부모는 부모끼리, 자녀는 자녀끼리 앉게 자리 변화
- 집에서 구성원 각 자의 생활과 영역의 필요성 강화
- 자녀들을 가르치는 부모의 비중을 강화
- 부모들이 좌젃로 인하여 유아적인 행동으로 퇴행하기 보다 성인으로서 행동하도록 격려
- 부모가 해야 핛 일과 자녀가 해야 핛 일의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제를 변화
- 치료자가 부모에게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자녀들과 어떤 작업을 할 때 부모의 허락구하기
- 부모와 자녀들이 각자의 행동만 하도록 부모와 자녀들이 따로 있는 시간을 강화
- 부모들이 자신의 문제에 자녀들을 연루시키기보다는 친구나 전문가에 상담을 하도록 격려하기
- 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이 나이에 걸맞은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기
- 자녀들이 나이에 맞는 적젃핚 행동을 하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부모가 자녀들과 함께 자녀들의 행동을 구조화하기
③ 하위체계와 동맹 맺기
주요전제 - 부모가 자녀에 대해 적절한 권위 & 지도력을 지녀야 하고, 이 권위와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집행력을 지녀야 한다고 봄
- 일시적으로 한 하위체계와 동맹을 맺음 → 가족체계의 균형을 무너뜨림 → 가족체계의
구조에 변화 유도 → 변화 이루어지면 다른 하위체계와 동맹 → 새롭게 그 하위체계를
강화시키는 방법
=> 역기능적으로 분배된 힘과 거리 조절하여 구성원 간의 적절한 경계를 형성하기 위한 기법
(구성원이 너무 밀착 / 삼각관계 / 자녀나 조부모가 부모보다 더 지배적인 경우)
- 직접적 & 지시적인 기법 → 비지시적 치료자가 사용하기는 어려움
④ 집중화(intensity)
- 치료자가 가족들의 역기능적 상호작용을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하여, 새로운 상호 작용이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방법
치료자 →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하여 가족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부각
← 가족들은 치료자의 지시에 대해 반발심 & 저항을 하게 됨
→ 치료자는 가족의 저항을 다룰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권위를 갖추어야 함
⑤ 강점 (strength)
-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자원을 찾아내 활용하는 방법
- 가족간 상호작용 속에서 역기능적인 부분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 자원 발견
- 같은 상황이라도 인식의 틀을 바꿀 수 있는 기회 제공
치료자 → 가족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자원을 지적, 지지
- 근거 없는 일방적인 칭찬 or 인정은 위험
← 신중하면서 공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활용 가능
※ 구조적 가족치료의 공헌점 및 제한점
1) 공 헌 점
① 구조적 가족치료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가족에 적용 (특히, 가족 내 적젃핚 경계 & 위계 강조하는 동양문화에서 효과적)
예) 당뇨병 환자가 있는 가족, 거식증 or 천식 아동을 둔 가족, 비행청소년 가족, 알코올 or 약물 오ㆍ남용가족, 부부 위기가족 등
② 인간관계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지적
2) 제 한 점
※ 페미니스트의 비판
→ 부부 및 부모 하위체계에 존재하는 권력의 불균형에 주목하지 안으며, 가족원 간 힘의 불균형을 치료하고자 개입하지 안음
→ 남녀 간 성역할 사회화 과정의 차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안으며, 치료과정에서 남녀의 서로 다른 경험을 존중하지 못함
'가족상담 및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8. 경험적 가족치료 2 (1) | 2022.09.21 |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7. 경험적 가족치료 1 (7) | 2022.09.20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5. 전략적 가족치료 (8)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4.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2 (3)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3.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5)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