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장애교육

사회복지사, 임상심리, 상담치료 등 자폐장애교육 요약 정리 3. 자폐장애 진단과 평가 절차

롤라❤️ 2022. 10. 9. 10:50
반응형

3. 자폐장애 진단과 평가 절차

1. 진단평가의 목적
- 적절한 지원을 계획하고 제공하기 위한 출발점
- 부모의 참여와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일 필수
- 소아정신의학, 심리학, 신경학,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 재활학 등의 전문영역에서의 전문가들의 협
력을 기본으로 함
- 추후 좀 더 자세한 평가가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선별
- 특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진단적 평가
- 자폐성장애를 다른 신경정신과적 증상과 구별하기 위한 감별진단
- 중재 제공 시 진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발달영역에서의 현행수준 판별
- 중재 목표와 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개인의 강점과 요구의 특징 파악
- 발달영역간의 기능 수준에 대한 자세한 설명

 

2. 조기 진단의 필요성
- 빠른 조기 교육과 중재로 이어져 이후 아동의 발달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함
- 빠른 시기에 적절하고 집중적인 지원을 할수록 아동의 예후가 좋아짐
- 언어,정서,행동, 학업발달을 포함
- 최근 바이오마커(biomarker)같은 표지자(indicators) 찾기를 강조: 유전자 혹은 혈액 검사를 통해 자폐
성 장애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
- 국내에서 영유아에 대한 선별도구 개발에 대한 노력 지속, 영유아 건강 검진제도 시행

 

3. 조기발견과 의뢰
- 생후 4개월부터 71개월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선별검사 시행
- 미국: 18-24개월 사이 장애 선별 -> 36개월 이내 장애아동 진단 -> 48개월까지 필요한 지역사회 기
반 지원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언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문제인식 시기는 주로 3세 이후, 진단 받은 시기는 장애발견(의심) 후 3년 이상이
가장 많았음. 진단이 늦어진 이유로 ‘ 자라면서 나아질 것이라고 여겨서’ 가 가장 많은 사유임

 

4. 장애 진단과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다양한 심리진단도구의 활용과 관련 전문가의 임상적 의견이 중요. 최종적으
로 소아정신과 전문의가 진단을 내림
- 실제적인 지원을 위하여는 교육적 평가도 중요함

-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의심되는 영유아 및 학생을 발견한 때에는 교육장 또는 교육감에게 진단· 평
가를 의뢰해야 함.
-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평가는 개별화 교육계획을 위한 기초자료이자 교수를 위한 필수적인 정
보로 활용될 수 있음
- 교육평가: 개별화교육지원팀에 의해 실시. 심리학자, 언어나 작업치료와 같은 관련 치료사, 행동지원
전문가 등이 포함될 수 있음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과 점검을 위하여 학생의 진보를 감독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 장기, 단기 목
표 달성 여부를 아는 것도 중요함.
- 지원영역: 언어 및 의사소통, 사회성, 행동 영역
- 미국 특수교육학회의 기준: 특수교사는 학생의 의학적 고려, 장애 관련 핵심 특성, 동반할 수 있는
증상, 감각 문제, 언어 및 의사소통, 적응행동상의 요구,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마음 이론이나 중
앙응집력, 실행기능, 학습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 신경학적 차이, 자기조절 등에 대한 지식을 지니고
있어야 함.
- 규준참조검사: 학생의 점수를 참조하고자 하는 규준 또는 표준화 집단과 비교하여, 학생의 수준이 다
른 학생들에 비해 어떠한지 알고자 할 때 사용함. 원점수를 다양한 유형의 점수로 환산하여 사용하
며, 지능검사나 대학능력수학능력시험의 경우에 해당함
- 준거참조검사: 평가하고자 하는 해당 학생이 아는 것 자체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교육목표를 설정하
는 데 중요한 검사방법임. 개인참조 검사나 교육과정 중심평가와 관련되어 있음. 학생의 수행에 초점
을 두어 현행수준과 이전 수행수준을 체계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의미.
- 관찰: 평가자에 의해 수행되는 가장 직접적인 평가방법임. 교과 및 비교과에서 활용 가능. 행동지원
을 위해 실시하는 기능평가는 가장 체계적인 관찰평가 중 하나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