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화와동서양

역사학, 문화교양학과, 논술 등, 방통대 근대화와동서양 요약 정리 8. 미국의 근대화: 산업화와 혁신주의 시대

롤라❤️ 2023. 1. 28. 10:14
반응형


8장 미국의 근대화: 산업화와 혁신주의 시대

<<용어정리>>
○ 공제조합운동: 1860년대 말에서 1870년대 초에 미국 농민들이 벌인 최초의 농민운동. 19 세기 미국의 급격한 산업화는 지금껏 미국 농촌의 중심이었던 소규모 자영농을 크게 위협했
다. 이에 대응해 농민들은 협동조합을 만들었으며, 이 조직은 공황 시기에 융성했다. 정치적
기구라기보다는 친교 모임에 가까웠으며, 자금이나 경험 면에서 부족해서 정치적으로 성공
하기엔 어려운 점이 있었다.
○ 남북전쟁: 1861년 발발해 1865년에 끝난 미국의 내전이다. 노예제 폐지를 둘러싸고 논쟁
이 벌어진 끝에 남부 노예주들이 연방에서 탈퇴하면서 시작되었고, 북부의 승리로 마무리되
었다. 전쟁 기간으로나 피해 규모로나 당대 미국에는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충격적인 경험이
었다. 전후 남부의 재건이 정치적 화두로 떠올랐으며, 경제적으로는 제2차 산업혁명으로 일
컬어지는 폭발적인 산업화가 일어났다.
○ 노동기사단: 미국의 초기 노동 운동 단체 중 하나이다. 1860년 필라델피아 의복 재단사
들이 만들었고, 1879년 테렌스 파우더리의 지도 아래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폭력적 수단
대신 대화로 평등한 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1886년 헤이마켓 사태 전까지 가
장 규모가 컸다. 헤이마켓 사태에 대해 직접적인 책임은 없었으나 여론의 표적이 되어 세력
이 급격히 감소했다.
○ 도덕재무장: 1912년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우드로 윌슨이 혁신주의 정책을 위해 내세운
슬로건이다. 장로교 목사의 아들이었던 윌슨은 부조리와 불평등을 조장하는 독점 기업을 뿌
리 뽑기 위해 국가 전체의 도덕 재무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록펠러, 스위프트, 카네기: 남북전쟁 이후의 급격한 산업 발전은 대규모 기업과 기업가
들을 창출하였다. 미국 철강 산업을 주도했던 카네기(Andrew Carnegie), ‘스탠다드 오일’로
미국의 석유 산업을 장악했던 록펠러(John D. Rockefeller), 시카고에 기반을 두고 전국 정
육업을 석권하였던 스위프트(Gustavus Swift)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 미국 노동 연맹: 헤이마켓 사태 이후 노동 기사단이 퇴조하는 와중에 사무엘 곰퍼스
(Samuel Gompers)의 주도로 미국 노동 연맹(American Federation of Labor, AFL)이 창단
되었다. 미국 노동 연맹은 숙련공 중심의 조직이었고 정치적인 문제보다 경제적인 문제에
집중하는 보수적인 운동을 벌였다. 이 때문에 미국 노동 연맹은 오랜 기간 성공적인 활동을
벌였지만, 미국 노동운동의 발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부의 복음: 철강왕으로 잘 알려진 카네기가 1901년에 출간한 책이다. 카네기는 이 책을
통해 부의 사회적 환원이 자본가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설파했다. 사회적 불평등을 주어진
조건으로 인정하는 대신 성공한 사람이 불평등의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 사회진화론: 다윈(Charles Darwin)의 적자생존론을 영국의 철학자 허버트 스펜서
(Herbert Spencer)가 응용해 주창한 이론으로, 윌리엄 그래이엄 섬너(William Graham
Sumner)가 이 이론을 미국의 자본주의를 옹호하기 위해 활용했다. 자연에서 강자가 살아남
는 것이 당연하듯 자본주의 경쟁 사회에서도 가장 능력 있는 기업, 기업인이 경제를 주도해
야 한다는 논리였다. 당대 다수 미국인들의 동의를 얻었다.
○ 미국의 산업화: 남북전쟁 이전에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미국의 산업화는 전쟁
중 철도 확장을 토대로 급물살을 탔다. 철도의 확산은 물류 수송을 빠르고 쉽게 만들어, 미
국 전체를 하나의 시장으로 만들었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분야는 육류 소비였다. 중남
부의 목축업과 중서부의 도축업이 철도를 통해 결합했다. 철도 건설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산업 분야였다. 무엇보다도 기간산업인 철강업이 철도 건설을 통해 성장했다.
○ 시오도어 루즈벨트: 미국의 26대 대통령. 루즈벨트는 공화당 소속이지만 혁신주의적 정
책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1902년 모건의 북부 증권 회사를 해체하는 데 성공한 뒤, 루즈벨트는 수십 건의 반트러스트 소송을 제기했고 대부분 승리했다. 또한 루즈벨트는 정육 및 식품
관련 입법으로 정부가 위생과 건강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했다.
○ 우드로 윌슨: 미국의 28대 대통령. 민주당 소속으로 혁신주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쳤
다. 관세율 인하를 골자로 하는 언더우드 관세법, 소득 재분배 효과를 가진 누진 소득세법,
정부 주도의 보다 신축성 있는 금융 체제를 위한 연방 지불 준비법과 반트러스트 개혁을 위
한 입법 등을 주도 했다. 이러한 법률들은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했는지의 여부를 떠나서 19
세기 후반부터 지속되어온 개혁 요구를 정부 주도로 실현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 인민당: 1892년 창립된 미국 농민 운동 단체이자 정당이다. 공제조합과 농민 동맹을 거
치며 보다 정치적인 성향을 갖게 된 농민 운동은 인민당에서 정점에 이른다. 인민당은 불법
토지 소유 금지와 통화 제도 개혁을 중심으로 누진 소득세, 상원 직접 선거, 노동시간 단축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세력이 미미했고, 1892년과 1896년 대통령 선거에서 이렇다할만한 성
과를 내지 못했다.
○ 혁신주의: 1901년부터 1917년까지의 기간 동안 미국에서 일어났던 개혁 움직임을 가리
킨다.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보적 사상에 근거해 미국의 전통적 민주
주의와 자본주의를 개혁하려 했다. 전문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 중산층이 주축이 되어 산
업화의 폐해를 극복하고 협력을 통해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내용요약>>
1. 미국의 산업화
① 남북전쟁 이전 건국 초부터 꾸준한 상공업 진흥정책
② 남북전쟁 이후 폭발적인 산업화 - 철도 확장으로 남부는 중서부와 동부에 연결, 남부의
경제 뿐 아니라 중서부의 경제 활성화
③ 농업에 기반을 둔 경제체제가 산업자본주의 체제로 전환
④ 거의 대부분의 산업 영역에서 대자본가(카네기, 록펠러, 스위프트, 밴더빌트, 모건)에 의
한 기업의 대형화

2. 사회문제의 대두: 노동자들의 피해 발생
생산단가 절감을 위하여 고임금 숙련공 기피, 저임금 비숙련공 선호, 여성노동과 아동노동,
노동 환경 악화

3. 노동자들의 저항(미국 노동운동) : 전반적으로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음
① 1877년 철도 총파업: 대기업의 횡포에 대항한 최초의 노동자들의 집단 파업 -처음에 파
업에 우호적이었던 일반 국민들은 과격한 투쟁을 벌이는 노동자들 외면
② 1886년 시카고의 헤이마켓 사태: 대규모 소요 사태, 노동운동에 대한 미국 중간계층의 불
안이 미국 노동조합운동에 불리하게 작용.
③ 미국 노동 연맹(American Federation of Labor, AFL)의 창단: 헤이마켓 사태 이후의 분
위기 반영. 그 보수성 때문에 19세기 말 보수주의적 산업화시대에 비교적 성공적으로 존속.
④ 그러나 미국 노동운동은 전반적으로 실패라는 평가 받음.

4. 농민들의 조직화: 산업화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농민들의 조직화
① 공제 조합(Grange) 운동(1860년대 후반과 1870년대 전반): 최초의 농민 운동, 농민들 간
의 친교 및 협동조합 기능에 치중. 1870년대 후반 경기 회복으로 세력의 급격한 쇠퇴.
② 농민 동맹(Farmers' Alliance): 1875년 초 남부 농민들 중심의 다소 정치적인 연합체

5. 인민당(Populist Party)의 창립(1892)
① 교통수단 직접 운영, 불법 토지 소유 금지, 통화 제도 개혁, 누진 소득세 제도, 미국 상원
의원의 직접 선거, 노동자들을 위한 노동 시간 단축 등을 정부에 요구.
② 1892년 공황으로 사실상 해체 - 미국은 여전히 탄탄한 자유방임주의 기조 유지. 인민주
의자 등 개혁 세력들의 전통 자본주의에 대한 수정과 개혁은 아직 시기상조.

6. 혁신주의(Progressivism)시대: 1901년부터 1917년까지
① 미국의 기존 질서와 체제를 무너뜨리는 혁명적 사회 변혁을 추구하지 않는 범위에서, 진
보적 사상에 근거해서, 전통적인 미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개혁하고자 하는 움직임
- 단순히 산업화가 낳은 직접적인 폐해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개혁 운동으로 전개
② 여성들의 참정권 획득을 통한 사회 참여 신장에도 큰 공헌.
③ 정치인들의 가장 적극적인 참여와 정치분야에서의 괄목할 개혁 성과
④ 대통령의 혁신주의 정책: 미국 혁신주의 성공의 가장 결정적인 배경 - 시어도어 루스벨
트와 윌슨 대통령의 의지에 따른 정치차원에서의 실질적인 개혁 성과
⑤ 1차 대전 이후 자유방임주의 부활, 1920년대 경제 부흥으로 자본주의 발전의 절정
⑥ 미국 자본주의 최대의 위기 및 대대적인 수정: 1차 대전 이후 자유방임주의 부활, 1929년
대공황 발발, 1932년 프랭클린 루스벨트의 대통령 당선 및 뉴딜(New Deal) 시대 도래



<<생각해 볼 문제>>
1. 오늘날 미국 자본주의의 기원에 대해 논의해 보자.
남북전쟁 이후, 농업 중심이었던 미국의 경제는 본격적인 산업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남북
전쟁 이전에도 상공업은 발달하고 있었으나, 그 속도와 수준이 더디고 낮았다. 전쟁 기간 중
사람과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폭발적으로 증가한 철도가 미국의 본격적인 산업화의 방아쇠
가 되었다. 철도는 미국 내의 원료와 상품들을 빠르고 안전하게 수송했고, 철도건설 자체가
산업화의 가장 중요한 기간산업인 철강 산업을 폭발적으로 발전시켰다. 철도 확장과 산업
발전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대규모 기업과 기업가를 창출했다.
남북전쟁 이전의 미국은 자급자족하는 농업경제에 가까웠다. 영국에서 독립한 이후부터
발달하기 시작한 제조업은 루이지애나 영토의 편입으로 서부 팽창이 시작되면서 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넓은 영토와 많은 자원에 비해 적은 인구와 원시적인 수
준의 운송이 산업 발달의 걸림돌로 작용해, 산업화의 속도는 아주 완만했다. 남북전쟁으로
빠른 운송의 필요가 시급하게 제기되기 전까지 미국의 운송은 주로 기존의 길과 수로에 의
존하고 있었다.
남북전쟁은 많은 지역을 철도로 연결하는 효과를 낳았다. 화장되고 발전한 철도를 토대로
미국 각 지역 간의 교역이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속도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
다. 심지어 육류의 운송이 가능해져 중남부 지역의 목축업을 대규모로 성장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운송의 발달은 전쟁으로 갈라졌던 미국의 각 지역을 다시 이어 붙이고 이전보다도
더욱 강력하게 하나의 국가경제로 결속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철도의 확장은 곧 철강산업의 발달이기도 했다. 철강산업의 발전은 산업화의 근간이 되는
기계류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본 단계이기도 하다. 철강 산업은 수요의 증가뿐만
아니라 풍부한 자원과 기술 발전에 힘입어 거대한 규모로 발전해나갔다. 철강 왕으로 유명
한 카네기를 비롯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거대 기업과 기업가들이 등장하는 것도 이 시기 이다.

2. 미국의 산업혁명을 영국이나 독일의 산업혁명과 비교해 보자.
독일의 산업혁명에서도 보이듯, 후발주자의 산업화는 영국의 그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그
러나 독일의 국가주도 산업화와 달리 미국의 산업혁명은 자유방임적인 국가와 개별 기업 간
의 경쟁 등 영국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철학적으로나 정치 제도 측면에서나 영국적 전통
에서 크게 영향 받은 미국은 독일처럼 국가가 경제에 적극 개입하는 정책을 쓰지 않았다.
미국의 고유한 성격은 미국이 유럽과는 달리 새롭게 개척된 식민지였고, 독립 이후 유럽에
서처럼 신분제에 따른 지배계급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회 구조가 좀 더 유연했다는
데서 나온다. 또한 미국은 광활한 영토와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었고, 자원대비 인구수가
매우 적어 끊임없이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어야 했다는 특징도 있었다.
남북전쟁 이후 미국은 본격적인 산업화를 겪었다. 광활한 영토, 풍부한 자원, 끊임없는 이
민자의 유입, 새로운 기술, 거기다가 갈수록 가까워지고 좁아진 세계 속에서 미국은 전쟁 이
전의 산업 발전이나 다른 유럽의 산업화보다 훨씬 빠르고 폭발적으로 산업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19세기 말은 미국 사회의 분기점이 된 시기였다. 전통적으로 농업에
기반을 둔 경제 체제는 상공업에 기반을 둔 산업자본주의 체제로 변환되었다. 이 시기는 ‘반
란’의 시기였으며, 동시에 ‘개혁의 출발’이 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산업화에 불이익이나 차별
을 받은 국민들은 새로운 변화에 저항했고, 이는 곧 새로운 개혁의 씨앗을 잉태하였다. 20세
기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자본주의 형태의 모순을 개혁하기 위한 대대적인 혁신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화폐제도, 노동 환경, 독과점과 여성 참정권까지 사회의 각 영역을 구석구석 휩쓸
고 지나간 혁신주의 운동은 정치가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미국의 자본주의를 보다 건강
하고 지속가능한 체제로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이었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