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49. 휴리스틱과 편차

롤라❤️ 2023. 4. 10. 16:00
반응형

49. 휴리스틱과 편차

 

1) 대표성 휴리스틱
(1) 대표성 휴리스틱 문제
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 어떤 한 도시에서 6명 아이가 있는 모든 집이 조사되었다 그 중 72가구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출생 순서는 G B G B B G(G: Girl, B: Boy)와 같았다 조사된 가구 중 출생 .
순서가 정확히 B G B B B B일 가구의 수는 얼마나 될 것 같은가?
 출생순서가 B G B B B B인 가구의 수를 추정한 대부분 사람들은 그 수가 72보다 작을것이라 판단하였음
 실제로 이 출생 순서를 보이는 가구 수의 가장 좋은 추정치는 72와 (G B G B B G 와 같음)
 이유 : 한 출생에서 나타나는 성별이 다른 출생에서 나타나는 성별과 독립적이기 때문 즉 매 ,
출생에서 남자아이 또는 여자아이가 나올 기회는 50%이기 때문에 어떠한 출생순서도 모두
똑같이 (0.5)6 임 → B B B B B B B이나 BG G B B G나 나올 확률은 동일함 
 그런데 왜 어떤 출생순서가 다른 순서보다 더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걸까? → 대표성
휴리스틱을 사용하기 때문

(2) 대표성 휴리스틱 정의
우리가 불확실한 사건의 확률을
① 그 확률이 도출되는 모집단을 얼마나 잘 대표하는지 또는 비슷한지 정도
② 그 확률이 생성되는 과정의 현저한 특징을 반영하는 정도 (무선성과 같은) 에 따라 
판단한다는 것임
 BBBBBB보다 BGBGGG이렇게 B와 G가 섞여 있는 게 더 그럴듯해 보이는 이유는  
모집단(G B F B B G) 과 비슷해보이기 때문임
즉, BGBGGG가 남 : 녀 비율을 더 잘 대표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고 이게 더 
BBBBBB 보다 무선적으로 보이기 때문임
유사하게 동전 던져서 뒤 앞 뒤 뒤 앞 뒤 순서로 나올 확률을 판단하게 하면 [앞 앞 앞 
앞 뒤 앞] 보다 그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함 → 즉 무선적으로 보이는 순서를 더 그럴듯하다고 판단하는 것임
사람들은 똑같은 숫자가 우연에 의해 반복적으로 똑같이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을 과소평가하고 있음


(3) 대표성 휴리스틱의 다른 예 : 도박꾼의 오류  
도박꾼이 주어진 우연 사건의 확률이 이전 우연 사건의 영향을 받는다고 잘못 믿는 것임
예 5번 연속해서 게임에서 진 도박꾼은 5번 연속해서 졌기 때문에 6번째 하면 이길 것이라 
믿는 것임 → 사실은 각 게임은 독립적인 사건으로 이기거나 질 확률은 모두 동일함
유사하게 농구에서 연속골에 대한 잘못된 믿음도 마찬가지임 이전 골 실패한 경우보다 
성공한 경우에 골을 또 넣을 확률이 높다고 착각함


(4) 대표성 휴리스틱의 특징
우리는 대표성 휴리스틱을 매우 자주 사용하는데 실제로 잘 들어맞는 편임,
예 일기예보를 보지 못하고 집을 나서야할 때 그 때가 몇 월인지 하늘이 상태를 보고: ,
판단해서 우산을 가지고 나갈지 말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고 실제로 잘 맞아떨어짐
 Tversky와 Kahneman에 따르면 우리가 대표성 휴리스틱을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적은  ,
수의 표본 예 사건 사람 특성의 표본 이 모든 면에서 그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을 
닮았다고 잘못 믿기 때문임‘ ’
즉 적은 수의 표본 예 우리가 잘 아는 사람들 박사들의 특징 학교 종사자들의 특징 
등 의 특징이 전체 모집단의 특징을 부적절하게 나타낼 가능성을 과소평가하는 경향 때문임)


(5) 대표성 휴리스틱의 문제
매우 적은 수 표본에 기초하여 판단을 하다보니 대표성 오류 를 겪기도 함 
어떤 사람 논법 일화적 증거에 너무 의존하는 것을 뜻함:
- 어떤 통계적 자료를 봐도 "나는 ...한 사람을 알고 있다" 는 우리 자신의 관찰로 그 자료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많음 (예 : 고기 먹으면 대장암에 걸린대...  → 내가 아는 스님도 
대장암이야 심장병과 콜레스테롤이 높은 식사에 대한 통계수치를 보고도 → 내가 아는, 
사람은 아침 점심 저녁 생크림 케이크를 먹고도 110살까지 살았어 

기저확률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대표성 오류를 겪기도 함
- 기저확률 전체 모집단에서 어떤 사건이나 특성이 나타나는 비율:
- 기저율 정보가 효율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에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종종 무시함
- 예 : 10세 소년이 가슴 통증을 느낀다고 했을 때 60세 남성이 같은 증상을 갖고 있다고 
얘기했을 때보다 심장발작 가능성이 더 적다고 판단할 것임 (왜냐하면 심장발작 기저율은 10세 
보다 60세에 더 많기 때문60 )


2) 가용성 휴리스틱
(1) 정의
어떤 현상의 적절한 예라고 지각되는 것이 얼마나 쉽게 마음에 떠오르는지에 기초해
판단하는 것
 R로 시작하는 단어가 많을까? vs R이 3번째 철자로 들어가는 단어가 더 많을까? 

 대부분 R로 시작하는 단어가 더 많다고 말함 (이유 : R로 시작하는 단어를 생각하는 것이 세 
번째 철자에 R이 들어간 단어를 찾아내는 것보다 더 쉽기 때문) 

 

(2) 일상에서 관찰되는 가용성 휴리스틱
결혼한 부부에게 200개 집안일 중 두 사람 중 누가 더 많이 하는지 보고하게 하였음 
각 배우자는 자신이 20개 중 16개 정도 더 많이 한다고 보고하였음 
만약 각 배우자들이 맞게 대답한 것이면 집안일 100%를 완성하기 위해 각 배우자가 그 일의
80% 씩을 한 셈임 즉 모든 참가자들에게 있어 자기 자신의 행동을 가용할 수 있어서 
공동으로 했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역할을 더 크게 보이도록 만든 셈


(3) 가용성 휴리스틱의 문제
자신에 대한 믿음과 아무 관련 없는 논리적 오류를 나오게 함
두 집단 참여자들에게 2,000개 단어로 이뤄진 문구에 나타날 것이라 예상되는 특정한
형태의 단어의 수를 추정하도록 하였음
한 집단의 특정한 형태는 _ _ _ _ ing였고 다른 집단은 _ _ _ _ _ n _이었음 
분명히 -ing로 끝나는 7철자 단어가 끝에서 두 번째 철자가 n인 7철자 단어보다 더 많을 수 
없지만 형태 단어가 더 가용성이 크기 때문에 -----n-보다 추정값이 2배 크다.

위 실험의 예는 가용성 휴리스틱이 결합오류 를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줌 
결합오류 개인이 하위집합 (예-ing) 에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더 큰 집합 (예 : 끝에서 두
번째 철자가 n인 경우) 보다 더 큰 추정치를 부여하는 것임 
커피를 쏟을 가능성 vs 뜨거운 커피를 쏟을 가능성
판단과 의사결정의 목적 문제에서 다룬 린다의 예에서도 적용 됨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 건강 설문지를 받은 남자 중 1번 또는 그 이상 심장발작을 경험한: 1
사람은 몇 일까요 설문 받은 남자 중 55세 이상이면서 1번 또는 그 이상 심장발작을 
경험한 사람은 몇 %일까요? ➡  (결과) 전자에 대한 평균 추정치는 18%후자는65% 

포함오류 결합오류의 변형으로써 한 포괄적인 범주 예 변호사 의 모든 일원이 특정한 성격을 가질 가능성을 그 범주의 하위 집합 (예 : 노조 변호사) 의 모든 일원이 가지고 있을 가능성보다 높게 판단하는 것임
응답자들은 모든 개개 변호사 즉 모든 변호사 가 보수적일 가능성이 모든 개개 노조 
변호사가 보수적일 가능성보다 훨씬 더 크다고 판단했음

- 여기에서 확률을 보는 게 아니라 주어진 범주에 대한 그 성격의 지각된 전형성 예( :
대표성 에 근거해서 판단하는 경향이 있음)

대표성 가용성 휴리스틱이 항상 잘못된 판단과 결정을 갖고 오는 것은 아님 사실 휴리스틱/ (
자체가 자주 옳기 때문에 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임)


3) 기준점과 조정 휴리스틱
(1) 다음 문제의 답을 5초 내에 계산해보세요 

이처럼 사람들은 문제2 를 더 적게 빨리 추정하였음 


(2) 문제 를 빨리 추정한 이유 
그들 계산이 기준 하는 값 처음 몇 개 숫자를 곱한 값 이 더 높은 값을 제시하고 있고 
거기에 기점으로 하여 조정하여 최종값을 추정했기 때문임


4) 기타
(1) 틀효과
대인이 제시되는 방식이 대안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
잠재적 이득을 포함하는 대안이 있으면 위험을 회피하는 대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즉 우리는 이득이 크지만 불확실한 대안보다는 이 불확실한 이득이 어마어마하게 크거나 
거의 확실한 게 아니라면 이득이 적어도 확실한 대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 600명 사람이 어떤 질병으로 죽을 위험에 놓여있다고 해보자 A백신은 위험한 사람들 중 
200명을 살릴 수 있다 B백신은 600명 모두 살릴 수 있는 확률이 33%이고 600명 모두 
죽을 수 있는 확률이 66%이다 여러분은 어떤 백신을 선택하겠는가. ?
⋅ 200명을 살릴 수 있다는 것은 잠재적 이득 에 해당됨 그러나 잠재적 손실 을 
포함하고 있는 문제를 받게 되면 위험 추구하는 대안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과연 그럴까?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 600명 사람이 어떤 질병으로 죽을 위험에 놓여있다고 해보자 C백신을 사용하면 400명은 
죽게 될 것이다 그러나 D백신은 아무도 죽지 않을 확률이 33%이고 600명이 모두 죽을 
확률은 77%이다 여러분은 어떤 백신을 선택하겠는가?

⋅ 400명이 죽게 될 것이라는 것은 잠재적 손실 임 
적지만 확실한 손실보다는 크지만 불확실한 손실을 (이 불확실한 손실이 어마어마하게 
크거나 거의 확실한 게 아니라면)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 앞의 예에서 사람들은 A백신과 D백신을 선택함 (실제로 A,B든 C,D든 결과는 같음 다만 
어떤 틀로 주어졌느냐의 차이일뿐)


(2) 상관에의 착각 (illusory correlation)
우리 성향에 근거해 특정한 사건이나 속성이 어떤 범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경향
사건의 경우 가짜 인과관계를 볼 수 있음,
속성의 경우 고정관념을 형성하거나 사용하는 데에 개인의 편견을 사용할 수 있음,
예 우리가 특정한 정치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이 특정한 지적 또는 도덕적 특성을 보인다고 
기대하면 그 사람들이 그런 특성을 보이는 사례가 우리 기대에 어긋나는 사례보다 더 가용하고, 
쉽게 기억될 가능성이 더 크다. 즉 우리는 그 정치집단과 특성 간 상관을 지각하게 되는 것임 

로르샤 검사와 같은 투사검사에 기초한 정신병리 진단에도 상관에의 착각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특정반응이 특정진단과 연합되는 잘못된 상관을 제안한 연구가 있음
- 예 :편집증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다른 진단 받은 사람보다 눈을 더 크게 그린다든지 등 
- 사실 편집증 진단 받았다 해서 눈을 크게 묘사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특정 반응과 관련된 진단 사이에 상관이 있다고 기대를 하게 되면,
실제로 아무 상관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관이 있다고 착각하게 되는 것임 


(3) 과신 (overconfidence)
개인이 자신의 기술 지식 또는 판단을 과대평가하는 것,
- 실험 사람들에게 압생트는 a독주이다 b보석이다 와 같은 문장 200개를 
주었음 (사실 압생트는 감초향이 나는 독주이다)
사람들에게 위 문장 중 맞는 답을 고르고 그 답이 맞을 확률을 같이 말하게 하였음
결과 :  사람들은 과신하였음 
즉 사람들이 자신의 답에 100%확신하더라도 실제로 80%만 맞았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판단의 정확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과대평가 하는 이유 부분적으로 사람들 자신이 아는 것이 얼마나 적은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에 의존할 때 무엇을 가정하고 있는지 자신의 정보가 신뢰하기 어려운 출처에서 온,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데서 연유함
과신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부적절한 정보와 비효율적인 의사결정 전략에 기초해 빈약한 결정을 내림
왜 우리가 과신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우리는 틀릴 것이라 생각하지 않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음


(4)  매몰비용 오류(sunk-cost fallacy)
이전에 투자한 것을 회수하기 위해 투자를 계속하는 결정
차를 샀다고 생각해보자 그런데 그것이 문제가 많은 중고차였다면 수리하려고 큰돈을 쓸 
수 밖에 없을 테고 수리할 때마다 이게 마지막 수리가 될 것이라고 믿게 될 것이다 즉 새차를 사기보다 이미 수리에 쓴 돈을 정당화하기 위해 수리에 얼마만큼 돈을 사용했는지를
생각하며 추가 수리의 정당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며 이것이 매몰비용 오류를 범하는 것임 

 2주 해외여행 중 유쾌하지 않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 쓴 돈 포기하고 1주일 먼저 집에 
돌아갈 것인가? 아마 이미 휴가에 쓴 비용을 정당화하기 위해 앞으로 더 나아질 것이라는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이 많을 것임 → 매몰비용 오류임) 


(5)  기회비용(opportunity costs)
자신에게 어떤 기회를 가져오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
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된 기회들 가운데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기회 자체 또는 기회의 가치를 의미함
판단을 할 때에는 기회비용을 고려해야 함
깨진 유리창 수리비용으로 들어간 돈 때문에 다른 쇼핑하고자 했던 것을 하지 못할 수 있음
그러나 깨진 유리창이 집 주인에겐 손해지만 누구든 먹고 살아야 한다는 점에 기초해서
보면 유리 수선해주는 사람에게는 이득일 수 있음


(6) 사후판단 편향 (hindsight bias)
한 상황을 되돌아볼 때 우리는 어떤 특정한 결과를 가져온 모든 징후와 사건들을 쉽게 볼 수 있음
심리학 실험 결과를 예측하게 하면 우연수준(50%)이상보다 더 잘 예측을 못함
그러나 사람들에게 그 실험 결과를 얘기해주면 이들은 그 결과가 나올 줄 알았다면서 미리 
쉽게 예측할 수 있었을 것이라 말함
내 그럴 줄 알았다 인간관계 간 어려움이 발생하기 전에는 그런 결과가 나올지 몰랐으나 
막상 안 좋은 결과가 나오게 되면 이렇게 얘기를 자주함)


5) 집단 의사결정
집단 의사결정은 개인과 다른 결정을 내림 이득도 있지만 집단사고라 부르는 약점도 있음 

집단결정의 이득 집단사고(약점)
의사결정 팀을 형성하게 되면 자원과
아이디어가 증가하기 때문에 성공적 결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음
성공적 의사결정 하는 집단의 특징
- 집단이 작다
- 개방적으로 소통한다
- 구성원들의 공통 마음자세를 공유한다
- 구성원들이 집단과 동일시한다
- 구성원들이 수용할 만한 집단행동에
동의한다
배심원단 공공정책 집단의 의사결정 등,
집단사고란 일반적으로 갈등을 회피하고자
애쓰는 집단 구성원들이 초래하는 시기상조
결정이라는 특징을 보이는 현상
관례적이지 않은 아이디어는 기피하고자 함
어떤 집단이 집단사고를 이끌어내는가?
- 배타적이고 응집적이며 동질적인 집단에게
결정권한을 부여한다.
- 집단 내 외에서 객관적이고 불편부당한/
리더십이 없다.
-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집단 의사결정
과정에 압박을 가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