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1
1. 벌의 정의와 특성
- 어떤 특수한 행동을 했을 때 그것을 조건부로 하여 불쾌하고 혐오스러운 결과를 주어 행동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총체적으로 벌이라고 칭한다.
- 벌은 결과가 비호의적인가 혐오적인가로 판단할 수 없다.
- 벌을 주는 과정에서 그 행동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정지 하는가 혹은 그 행동이 미래에도 감소하
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벌은 미래에 그 행동이 감소되는 경우에만 성립될 수 있다.
1) 벌의 정의
① 특정 행동이 일어난다.
② 행동이 뒤이어 즉시 어떤 결과가 따른다.
③ 결과적으로 미래에 그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을 것이다(행동이 약화된다).
2) 벌이 아닌 것
⑴ 사례
- 공격적인 6세 지홍이는 4살짜리 여동생이 울 때까지 집적거리고 때린다. 지홍이의 어머니는 그가 여
동생들에게 집적거리거나 때릴 때마다 꾸짖고 볼기짝을 찰싹 때린다. 지홍이는 어머니가 자신을 꾸
짖고 볼기짝을 찰싹 때리는 순간에는 여동생들을 집적거리고 때리는 행동을 중지할지라도, 그는 매
일 여동생들에게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계속하고 있다.
- 어머니에 의한 꾸짖기와 볼기짝 때리기는 지홍이의 공격 및 파괴행동에 대한 벌인가?
→ 아니다. 꾸짖기, 엉덩이 때리기가 벌인자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 꾸짖기, 볼기짝 때리기가 벌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약화시키는 결과가 있
어야 하지만 그러지 못했다. 행동(집적거리기, 때리기)은 결과(어머니에 의한 꾸지람과 볼기짝 맞기,
그리고 여동생들의 울음)를 가져오고, 그 결과 지홍이는 매일 그 행동을 계속하고 있다. 이것은 부적 강화이다.
벌 VS 부적강화 1) 공통점 : 혐오자극이 관여되어 있다. 2) 부적강화 : 어떤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시험 점수가 나쁘다 → 회초리를 맞는다 → 성적이 좋아졌다(교사의 회초리는 부적강화자극) 3) 벌 : 어떤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목적이다. 욕을 한다 → 엄마가 꾸지람을 한다 → 욕하는 행동이 적어졌다(엄마의 꾸지람은 벌이다) |
벌의 예 |
- 금주는 자전거를 탈 때 너무 앞만 내려다보면서 폐달을 밟는다. 갑자기 주차 중인 차의 뒤로 돌 진하여 얼굴이 자동차의 지붕에 부딪쳤다. 이 과정에서 금주의 앞니는 흔들리고 얼굴에 큰 상처 가 났다. 미래에 금주는 앞만 보면서 자전거를 탈 가능성이 훨씬 적을 것이다. - 서연이는 어린이집에서 다른 아이들이 자신의 인형을 가지고 놀면 가끔 다른 아이들을 때렸다. 서연이의 선생님은 서연이가 다른 아이들을 때릴 때마다 노는 것을 중지시키고 2분 동안 다른 방에서 앉아 있게 했다. 그 결과 다른 아이들을 때리지 않았다. |
3) 벌에 대한 오해
① 일상적인 벌의 의미는 행동수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미와 다른 것이며 특정 의미를 지닌 기술적 용
어이다.
② 행동분석가들은 벌이란 행동의 결과가 미래에 그 행동출현의 감소를 가져오는 과정을 언급한다.
③ 벌에 대한 기술적 정의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은 행동수정에 있어서 벌의 사용은 잘못되거나 위험
하다고 믿을 수 있다.
④ 행동수정에서의 벌에 대한 기술적 정의를 이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의 벌에 대한 일반적인
관점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정적 벌과 부적 벌
- 벌에는 기본적으로 정적 벌과 부적 벌이 있으며 정적 벌과 부적 벌의 차이는 행동의 결과에 의해 결
정된다.
⑴ 정적 벌
- 행동의 발생은
- 혐오자극을 수반하도록 만들고
- 그 결과 미래에 이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보다 적을 것이다.
정적벌의 다른 명칭: 적용에 의한 벌, 유관적인 자극제시에 의한 벌, 혐오자극의 제시에 의한 벌, 벌
에 대한 반응-유관적 제시
① 정적 벌에 관한 실험
-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해 행동감소 실험(Corte, Wolf, Locke, 1971)
⦁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벌을 사용하여 자해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 피험자가 스스로 자신의 얼굴을 때릴 때마다 연구자들은 바로 손에 쥐고 있던 충격기구로 간단한
전기 충격을 가했다(전기충격이 고통스럽긴 하지만 피험자에게 해가 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절차
를 거쳐 매 시간 자신의 얼굴을 때린 횟수가 300-400회에서 거의 0에 가깝게 감소했다.
⦁ 현대에는 전기충격을 윤리적인 문제로 벌자극으로 사용하지는 않지만 정적 벌의 기본원리를 잘 설
명해주고 있다.
- 6개월 된 유아의 반추행동 감소 실험
⦁ 유아의 반추행동이란 반복적으로 음식을 토하고 다시 삼키는 행동을 말한다.
⦁ 이러한 행동은 탈수, 영양실조를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행동이다.
⦁ 유아가 반추행동을 일으킬 때마다 소량의 레몬쥬스를 유아의 입에 넣는다. 그 결과 반추행동은 즉시 감소했고 유아의 체중이 다시 늘기 시작했다.
- 6세 발달지체 소년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 실험
⦁ 교실에서 때리는 행동을 할 때마다 6세 소년에게 앉았다 일어섰다를 10번 반복하도록 시킴12). 소
거도 행동을 감소시키지만 행동이 감소되기 위해서 더 긴 시간이 필요하며 행동이 감소되기 전에
종종 소거발작이 일어나지만 벌에는 소거발작이 없다.
⑵ 부적 벌
- 행동의 발생은
- 강화자극을 제거함으로써 일어나고
- 그 결과 미래에 그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보다 적을 것이다.
부적(否的)이라는 말은 어떤 자극을 제거하거나 회수한다는 의미이지 결코 행동이 부정적이거나 행동의
감소나 제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가 아니다.
부적 벌의 다른 명칭 : 철회에 의한 벌, 강화인의 손실에 의한 벌, 벌칙의 유관성, 정적 강화인에 대한
반응-유관적 제거
① 부적 벌에 관한 실험
- 타임아웃을 이용한 8세 다운증후군 소녀의 공격성 감소 실험(Clark, Rowbury, Baer, 1971)
⦁ 교실에서 공격성이 발생할 때마다 3분 동안 작은 타임 아웃실에서 혼자 앉아 있어야만 한다. 타임
아웃결과 소녀의 문제행동은 바로 감소되었다.
- 반응대가를 이용한 비행 전 청소년 실험(Phillips, Fixsen, Wolf, 1971)
⦁ 적절한 행동에 참여하는 동안 점수를 획득하고 과자, 돈, 특권과 같은 대체 강화물과 획득한 점수
를 교환하였다. 점수는 조건 강화인이다.
⦁ 저녁식사에 늦게 도착하는 사람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반응대가13)라는 부적 벌 절차를 사용하
였다. 저녁식사 시간에 늦게 도착하면 획득한 점수의 일부를 차감한다. 그 결과 늦게 도착하는 행
동이 감소하고 청소년들은 모두 정각에 도착했다.
② 부적 벌과 소거의 차이점
- 부적 벌과 소거 모두 행동을 약화시킨다는 공통점이 있다.
- 소거는 행동을 유지하고 있던 강화인을 억제하는 것이고 부적 벌은 행동 후의 다른 정적 강화인을
제거하고, 부적 벌에서 제거된 강화인은 그 행동을 유지하고 있던 동일한 강화인이 아니어야 한다.
- 예> 은미는 엄마가 다른 사람과 전화통화를 할 때 끼어들기를 하고 대화를 방해했다. 이런 행동은
엄마가 그럴 때마다 꾸짖는 관심끌기에 의해 강화되고 있었다. 이 경우 소거는 은미가 이야기를 가
로막을 때마다 부모의 관심끌기의 억제해야 하며, 부적 벌은 이야기를 가로막을 때마다 다른 강화
즉, 용돈, TV시청기회와 같은 것의 상실을 포함한다.
◆ 문제1 두 형제가 서로 자기가 보고 싶은 채널을 선택하려고 리모컨을 가지고 싸우고 있다. 어머니는 TV를 끄고 리모컨을 한 시간 동안 압수했다. 그 후 형제끼리 리모컨을 차지하려고 다투는 일은 없어졌다. |
1) 표적행동과 후속사건은 무엇인가? 표적행동 : 형제간의 다툼 -> 후속사건 : TV시청금지, TV리모콘 압수 2) 자극은 표적행동에 후속하여 제거(-)되었다. 3) 표적행동은 감소되었다. 4) 어머니가 사용한 기법은? 부적벌이다. |
◆ 문제2 낮에 서로 만날 시간에 없는 갑돌이와 갑순이는 밤늦도록 통화를 하였다. 그런데 통화 중에 갑돌이는 자주 하품을 하였고, 갑순이는 어이가 없다는 듯, “ 어쩜! 사랑하는 사람과 전화하면서 하품만 하는 의미가 뭐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라며 화를 내었다. 그 후로 갑돌이는 통화중에는 하품하는 일 이 없었다. |
1) 표적행동과 후속사건은 무엇인가? 표적행동 : 갑돌이의 하품 -> 후속사건 : 갑순이의 꾸지람 2) 자극은 표적행동에 후속하여 제공(+)되었다. 3) 표적행동은 감소되었다. 4) 갑순이가 사용한 기법은? 정적 벌이다. |
⑶ 벌의 변별효과
벌에 의해 형성된 A-B-C간의 기능적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① 특정 선행자극 상황에서
② 특정행동이 발생하고
③ 이에 수반하여 특정한 벌자극이 뒤따르는 일련의 과정이 일관성있게 반복되면 같은 상황에서 동일한
행동이 재발할 확률은 감소한다.
◆ 문제3 현구는 할아버지가 낮잠을 주무실 때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른다. 그때마다 잠에서 깨어난 할아버지는 시끄럽다면서 현구를 꾸중한다. 그러나 할아버지가 깨어 있을 때는 큰 소리로 노래를 불러도 야단치 지 않는다.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 할아버지가 낮잠을 주무실 때 현구가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는 일은 점차 감소될 것이다. |
선행자극(A) - 행동(B) - 후속자극(C) 할아버지가 낮잠을 주무실 때 - 현구는 큰소리로 노래를 부른다 – 할아버지가 야단친다. 할아버지가 깨어있을 때 - 현구는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른다 – 할아버지가 야단치지 않는다. |
3) 조건 벌자극과 무조건 벌자극
- 벌자극이란 어떤 행동의 발생에 즉시 후속자극으로서 그 행동의 미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말한다.
⑴ 무조건 벌인자(unconditioned punisher)
- 일차적 벌자극, 학습되지 않은 벌자극
- 선천적으로 벌의 기능을 가진 자극
- 진화과정을 통해 이전의 훈련 경험이 없어도 자연적으로 혐오자극으로 받아들이는 자극
- 예 > 극도로 춥다. 극도로 덥다. 시각적, 청각적 고통스러운 자극이 주어진다(예리한 물체가 긁히는
소리, 공포스러운 장면).
⑵ 조건 벌인자(conditioned punisher)
- 이차적 벌자극 또는 학습된 벌자극
- 개인의 독특한 경험에 따라 조건형성 과정을 거쳐 벌로 학습된 자극
- 본래 벌의 기능과는 무관한 중립자극이 무조건 벌자극과 반복적으로 짝지어지거나 또는 이미 학습된
다른 조건 벌자극과 반복하여 짝지어짐으로써 벌자극으로서의 기능을 획득하게 되는 것.
- 조건 벌인자는 뒤에 따르는 행동을 약화시킬 때만 벌인자로 정의될 수 있다.
⑶ 일반화된 벌자극
- 어떤 자극이 다양한 형태의 무조건 벌자극 또는 조건 벌자극과 반복하여 짝지어지면 결국 다양한 행
동을 억제할 수 있는 일반화된 조건 벌자극으로 학습된다.
- 하지마, 안돼 등의 꾸지람, 고개를 좌우로 젓기, 얼굴 찡그리기와 같은 사회적 거부의 표현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벌자극으로 일반화된 것이다.
⑷ 강화와 벌의 비교
① 정적강화와 정적 벌의 유사점
- 행동 후에 자극이 제시된다.
- 미래에 행동이 촉진 되는가 약화되는지와 관련이 있다.
② 부적강화와 부적 벌의 유사점
- 행동 후에 자극이 제거된다.
- 행동이 촉진되면 -> 부적강화, 행동이 제거되면 -> 부적 벌
⑸ 벌의 특성과 효과
① 벌의 특성
- 신속한 행동의 중단 : 혐오자극을 사용하면 문제행동을 신속히 중단시킬 수 있고 그 효과도 오래 지
속된다.
- 신속한 변별학습 : 험오자극을 사용하면 수용될 수 있는 행동과 수용될 수 없는 행동, 위험한 행동과
안전한 행동 간의 변별을 보다 빨리 학습시킬 수 잇다.
- 모방학습의 효과: 한 아동이 그릇된 행동을 하여 혐오스러운 벌을 받는 것을 관찰한 집단의 아동은
관찰하지 못한 집단의 아동들보다 그 행동을 월등히 덜하는 경향을 보인다.
- 억제된 행동의 회복 : 벌은 일시적으로 행동을 중단시킬 수 있을 뿐 행동을 감소 내지 제거하지는
못한다. 벌이 중단되면 반응의 억제 효과도 감소되어 마치 소거현상처럼 벌에 의해 억제되었던 행동
이 재발된다.
2. 벌의 효과적 사용
1) 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⑴ 즉시성
- 행동한 후에 벌 자극이 바로 따르거나 강화인이 즉시 상실될 때 행동이 약화될 가능성 높다.
- 떠드는 아이들을 향해 조용히하라고 소리치면서 눈을 흘깃 바라보면 아이들은 조용해진다. 이와 같
은 신속한 중단 효과는 부모나 교사에게 매력적이다.
- 교사가 학생이 대드는 행동을 한지 50분 후에 화난 표정을 한다면, 대드는 행동에 대한 벌로 받아들
이지 않는다.
⑵ 벌자극의 강도와 크기
- 벌로 사용되는 자극의 강도와 반응 억제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다. 즉 벌 자극의 크기가 클수록 더
신속하고 완벽하게 행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 벌로 억제된 반응의 회복은 벌자극의 강도와 부적상관이 있다. 즉, 벌자극이 강하면 강할수록 벌이
종료된 후 표적행동이 다시 발생할 확률은 낮아진다.
- 벌자극은 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강해서는 안된다.
⑶ 계속적 벌과 간헐적 벌
- 표적행동에 수반되는 벌자극은 간헐적으로 제공되는 것보다는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매번 제공되는
것이(FR-1)이 더 효과적이다.
- 벌은 간헐계획보다는 계속계획에 의해 제공될 때 반응 억제력이 더 높다.
⑷ 결과의 특성
- 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벌인자로 기능하는 사건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 즉 개인
차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2) 벌의 부작용
① 혐오자극의 부작용
- 혐오자극이 개입된 벌은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하거나 도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벌은 새로운 행동을 가르치지 못하며 이미 학습된 행동을 억제할 뿐이다.
- 교실에서 친구들을 때리는 행동을 벌하면 그 행동자체는 감소하지만 급우를 때리지 않는 대신에
사이좋게 지내리라고는 기대하기 어렵다.
② 부정적 정서반응과 공격적 행동
- 벌은 어떤 형태로 주어지든 벌 받는 사람에게 부정적 정서반응을 유발하며 심할 경우 벌주는 사람에
대한 공격적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 벌주는 사람과 장소까지 혐오스러워지는 일반화 현성을 보일 수 있다.
- 가장 가까워야 할 부모와 자녀 관계alc 교사와 학생관계를 해쳐 교육의 참목적 자체를 모호하게 만
들 수 있다.
③ 도피와 회피반응
- 혐오자극이 개입된 벌은 예상치 못한 도피, 회피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 지각한 학생들을 교무실로 불러 모욕을 주거나 체벌을 한다. 이 같은 조치는 앞으로 지각하지 말라
는 교사의 가르침이며 일찍 등교하면 체벌이나 모욕을 면할 수 있도록 해서 바람직한 행동을 부적강
화하려는 전략이지만, 지각생들은 아예 등교를 포기하고 가출하거나 무단결석과 같은 도피, 회피의
반응을 할 수 있다.
④ 행동적 대비현상
- 벌은 행동적 대비 현상을 낳을 수 있다.
- 행동적 대비란 한 자극사태에서 발생한 특정 행동이 벌을 받으면 동일한 자극사태에서 그 행동이 재
발할 확률은 감소된다. 동일한 행동이 벌을 받지 않는 다른 상황에서는 발생빈도가 이전보다 더 증
가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 예 > 한 아이가 엄마가 있을 때나 없을 때나 동일한 비율로 저녁밥을 먹기 전에 사탕 통에서 사탕을
꺼내 먹었다. 그런데 어느 날 엄마가 야단을 치자 그 후부터 엄마가 부엌에 계실 때는 식 전 사탕을
꺼내 먹는 비율이 감소되었다. 그런데 엄마가 부엌에 안 계실 때 사탕을 꺼내먹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⑤ 모방효과
- 벌을 통해 약속한 바람직한 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벌주는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
- 청소년 및 성인기의 반사회적 행동와 품행장애는 가혹한 벌에 노출되었던 유년기의 경험과 매우 높
은 상관이 있다.
⑥ 벌주는 행동 자체의 부적강화 효과
- 벌을 사용하는 부모, 교사, 기타 힘을 가진 어른들 입장에서는 벌은 상대의 어떤 행동도 신속히 중단
시킬 수 있는 만능도구로 여겨질 수 있다.
- 벌의 신속한 효과는 벌주는 행동 자체를 강력하게 부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3) 벌의 효과적인 사용
⑴ 효과적이고 적절한 벌 자극을 선정한다.
- 내담자의 인권이나 독립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시간이 덜 소요되며 사용상 어려움
이 적은 벌 자극을 선택해야 한다.
⑵ 연쇄적 행동은 초기 단계에서 신속하게 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일련의 행동이 모두 끝날 때까지 기다려 벌하는 것은 그만큼 효과가 적다. 일단 첫 하위동작이 시작
되면 학습된 일련의 동작들은 서로 강력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신속하게 이행된다. 따라서 발생초기
에 신속하게 벌자극을 제공하여 연쇄적 행동의 고리를 절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⑶ 초기에는 문제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벌자극을 제공한다.
- 특히 벌에 의한 치료적 중재가 처음 시도될 때는 계속계획에 따라 벌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
요하다. 이런 전략은 표적행동이 정해진 기준만큼 감소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⑷ 점차적으로 간헐계획에 따라 벌자극을 제공한다.
- 계속계획에 의한 벌은 실제로 거의 불가능하다.
- 표적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부모, 교사가 매범 벌자극을 제공할 만한 자원,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⑸ 벌의 부작용에 대비한다.
- 때로는 하나의 문제행동을 처벌하면 다른 바람직한 행동까지 감소하기도 한다.
- 아버지가 동생과 자주 싸운다고 꾸지람을 하면 아버지에게 접근하는 행동이 줄어들 수 있다.
⑹ 행동변화를 매일 기록하고 도표화하여 평가한다.
4) 벌의 사용과 윤리문제
⑴ 안전하고 인도적인 치료를 받을 권리
- 혐오자극을 벌로 사용할 때는 아동의 부모나 법적 보호자의 서면 승인을 받아야 하고 승인을 받았다
하더라도 언제든 혐오자극의 사용을 거부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 인도적인 치료중재는 ① 치료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하고 ② 내담자에 대한 깊은 연
민과 보살핌의 태도를 바탕으로 치료적 중재가 수행되어야 하며 ③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공식적 평
가 절차를 갖추어야 하고 효과가 검증되지 않으면 즉시 중단해야 하며 ④ 내담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⑵ 최소 제한적 대안의 선택
- 치료자가 중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내담자의 생활에 관여하게 된다. 이때 효과적 치료를 위해 필수
적으로 요구되는 한도 내에서만 내담자의 사생활에 개입해야 한다.
- 많은 학자들은 벌 기반의 치료방법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⑶ 효과적 치료를 받을 권리
- 효과가 입증된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비윤리적일 수 있다.
- 벌의 사용이 내담자의 습관적 행동으로 인해 더 큰 벌로부터 개인을 해방시킬 수 있다면 벌에 기반
한 치료방법은 정당화 될 수 있고 적절한 치료기법이다.
⑷ 벌에 관한 정책과 보호대책
- 벌을 기반으로 한 치료적 중재를 시행할 때는 반드시 지켜야 할 세부 절차와 정책적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행동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12.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3 (61) | 2023.04.19 |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11.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2 (65) | 2023.04.19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9.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3 (63) | 2023.04.18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8.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2 (60) | 2023.04.17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7.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1 (51)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