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행동수정 중재사례
1. 지적장애 아동의 행동수정
1) 자해행동치료
- 자해행동은 자살의도 없이 행해지며 불가항력적으로 자신의 신체조직을 파괴하거나 손상을 주는 행
동을 말한다.
- 반복적으로 머리를 흔들거나 때리기, 손이나 다른 신체부위를 끼물고 상처를 뜯고 꼬집고 할퀴고 머
리카락을 잡아 뜯고 눈을 찌르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 자해행동은 이르면 11-13개월에 나타나며 학령기에 나타날 확률이 높고 성인기가 되면 고치기 힘들
어진다.
- 자해행동의 발현은 신체 및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며 적정 시기에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 최근 실험연구에 따르면 내담자의 자연환경 속에서 자해행동을 유지시키는 강화물을 확인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치료개입이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같은 개입의 주요요인에는 a. 사전에 강화
된 자해행동이 나타나는 사건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선행동기 조작수정, b. 자해행동을 유지하는
강화물을 자해행동을 대체할 친사회적 행동으로 가르치고 강화빈도를 늘리기 c. 자해행동과 관련된
활동은 늘리고 행동에 대한 강화는 감소 및 소거하는 것이 포함된다.
⑴ 선행동기 조작의 수정
① 기능평가 후 자해행동이 보호자의 관심으로 강화되는 경우
- 고정간격강화계획으로 관심을 제공한다. 아동의 행동과 상관없이 고정간격으로 관심을 제공한다. 초
기에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제공하고 5분마다 10초 동안 관심을 주는 것으로 점차 줄여나가는데 이전
회기에 보인 자해행동의 비율에 따라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좋다.
- 변동간격 강화계획을 사용하는 경우 평균선에서 무작위로 강화 사이의 개입을 변화시킨다. 자유시간
을 얻음으로써 유지된 공격성, 자해행동을 고정간격 강화계획으로 줄인만큼의 효과를 보인다. 엄격한
고정 간격계획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② 기능평가 결과 과제회피의 결과로 자해행동이 유지되는 경우
- 시간설계를 활용한다. 과제회피에 의해 자해행동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활동 후 짧은 휴식시간을 고
정간격 강화계획대로 제공하고 이전 치료회기의 자해행동의 비율에 따라 휴식시간의 간격을 10분,
2.5분까지 간격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방법이다.
⑵ 친사회적 행동의 경쟁적 강화교육
① 아동의 문제행동은 언어적으로 관심을 요구하거나 성인의 도움을 받는 것을 정적 또는 부적(어려운
과제회피) 강화를 함으로써 감소된다. 즉 언어적으로 요구하기를 가르치는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을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을 훈련하여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② 행동패턴이 제한적인 아동의 경우 문제행동이 몇 가지 확실한 강화물로 지속될 수 있다. 중증지적장
애나 자폐가 있는 경우 자해행동은 과제에서 벗어나거나 선호하는 물품을 얻음으로써 유지되고 각
기능에 적합한 의사소통 반응형성은 문제행동에 나타나는 맥락적 상황에 상관없이 문제행동을 감소
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③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에 관한 연구에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소거나 타임아웃을 할 때에만 문제 행동이 줄어들었고 유관성은 의사소통 반응에 정적 강화를 추가했을 때 효과가 있었다.
④ 가장효과적인 방법은 지속적인 강화를 통해 의사소통 반응을 형성한 후 소거기간에 도입하고 강화
받지 않은 의사소통 반응을 색카드로 표시하여 소거 기간을 점차 늘리는 것이다. 낮은 비율의 문제
행동을 1분마다 강화하는 것 대신에 의사소통 반응을 강화하지 않는 시간을 4분으로 늘리면 그 동안
은 문제행동을 보이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⑶ 자해행동의 강화물제거 또는 감소
① 자해행동을 다루기 위해 소거만 활용한 치료는 윤리적 문제와 수행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② 조작적 행동에 강화물을 소거하는 것은 종종 소거발작으로 나타나 일시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의 강도
와 빈도를 증가시킨다.
③ 소거와 병행하여 선행조건변화 또는 강화절차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소거발작의 발생율을 낮
춘다.
⑷ 자해행동의 행동수정 효과
① 행동치료는 자해행동을 감소하는데 효과가 크다. Lewin(2002)은 1964년과 2000년 사이에 이루어진 자
해행동 치료에 관한 등재 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개입에서 자해행동이 치료말기에 최소한 기
준치의 80%는 감소하였고 평균 감소량은 83.7%로 보고되었다.
② 기능평가를 통한 자해행동에 부주의한 강화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 소거발작, 새로운 형태의 자해행
동 출현, 자해행동을 대체하기 위해 다루기 어려운 수준의 대안 반응을 가르치는 것 등은 행동 치료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적절히 다루고 인식하며 예측하기 위한 전
문적인 의견을 제공받기 위해서 전문가에게 관리감독을 받을 필요가 있다.
2) 지적장애의 행동수정기법
- 지적장애 치료 및 교육으 궁극적 목적은 자신의 연령의 적합한 행동, 사고의 감정을 갖도록 도와주
는 정상화과정, 조기치료와 예방이 선행되어야 한다.
- 경도 지적장애의 경우 지적능력보다는 사회적응능력 위주로 지도해야 한다.
- 중도 지적장애의 경우는 일상생활지도를 통해 착의와 탈의, 식사, 배변, 청결 등의 신변ㅅ 애활 자립
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최중도 지적장애의 경우 일반적으로 뇌성마비, 청력손실 등의 중복장애가 지적장애와 동반하기 때문
에 계속적인 보호와 관리를 필요로 한다.
⑴ 정적강화
- 한도 내에서 자기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아동, 부모, 교사 또는 주위 사람들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해결해낼
수 있는 과제를 부여하여 그에 상응하는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마다 칭찬, 격려, 간식 등 정적 강화
자극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다.
⑵ 행동형성
- 지적장애 아동이 아직까지 한번도 해본적이 없는 새로운 행동을 처음가르칠 때 사용한다.
- 먼저 최종 목표행동을 정해놓고 점진적으로 보상기준을 높여가면서 근접한 행동부터 하나씩 강화해
서 새로운 목표행동이 형성되도록 한다.
- 지적장애 아동의 식사, 옷입기, 대소변가리기 등 일상생활 적응에 꼭 필요한 행동형성에 매우 효과적
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⑶ 과제분석
- 특별히 중증장애나 지적장에 아동에게 신변 처리 학습과제를 가르칠 때 필요한 방법이다. 우선과제
를 아동의 정신능력에 따라 쉬운 것부터 여러단계로 세분화해서 한 과제마다 혼자 할 수 있을 때까
지 반복적으로 학습시킨다.
- 과제를 잘 따라하게 되면 그 때마다 칭찬과 보상으로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간헐강화를 통
해 학습된 행동이 유지 될 수 있도록 한다.
⑷ 행동연쇄
- 지적장애 아동에게 비교적 어렵고 복잡한 행동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다.
- 목표행동을 과제분석으로 여러 작은 행동으로 구분한 후 단계적으로 한가지씩 가르치면서 보상한다.
- 지적장에 아동에게 양치질하는 행동을 가르칠 때 먼저 과제분석을 한 후에 행동 연쇄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1단계에서 칫솔을 바로 고르면 보상을 주고 이 행동을 4-5회 연속해서 잘하면 다음에는 1,2단계(칫솔
에 치약 바르기)를 잘했을 때 보상을 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마지막에는 1단계에서 6단계
를 한꺼번에 끝낼 수 있을 때까지 보상을 계속해서 한가지 행동을 완전히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⑸ 보조법과 용암법
- 지적장애 아동이 주어진 과제를 스스로 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모
를 때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 말, 행동 또는 직접 시범을 보여주는 등 보조수단을 통해 일단 주어진 과제나 행동을 성취하면 용암
법을 이용해서 주어진 촉구와 보상의 양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 혼자서 도움 없이 수행하도록 한다.
⑹ 자기통제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행동을 배울 것을 약속하고 이에 따른 보상과
처벌을 아동 스스로 또는 아동과 부모간에 계약을 한다.
- 계약한 내용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주고 아동의 의견을 존중해서 쉽게 성공할 수 있
는 것을 결정한다.
⑺ 주장훈련
- 실패경험과 또래와의 소외로 인해 자신감이 부족하고 열등감이 많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주장훈련을
통해서 말이나 생각을 반복적으로 표현시킨 후 행동을 연결시킨다.
-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지적장애 아동엑에 자신감을 키워주고 불안감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⑻ 이완훈련
- 새로운 일을 시작하거나 낮선 상황에 적응할 때 이완운동을 시켜서 신체적인 긴장을 완화하고 불안
을 감소하도록 한다.
- 이완훈련은 크게 두가지로 신체적 이완과 심상을 이용한 긴장해소 방법이 있고 전문가나 부모님과
함께 하는 것이 좋다.
- 반복 훈련을 통해 아동 스스로 할 수 있게 되면 불안도 감소하고 동시에 학습능력도 증대시킬 수 있다.
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문제행동 치료전략
-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의 행동중재전략으로 많이 활용되는 것은 옳은 반
응에 즉각적인 강화, 반복과 연습, 간결한 가르침과 같은 형식으로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1) 기능중심 행동중재
- 기능평가에 기초하여 문제행동을 수정한다.
① 비유관적 강화
- 시간 중심적으로 아동에게 강화, 활동을 반응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 강화의 전달은 저항행동을 하고자 하는 개인의 동기를 줄이기 위함이다.
- 부적응행동을 통해 얻는 강화나 비슷하거나 더 높은 비율로 강화활동을 얻는다면 부적응행동을 하고
자 하는 동기가 점차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부적응행동이 낮은 비율로 감소할 것이다.
- 비유관 강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행동 기능에 잘 맞는 강화를 아동이 받는 것이
제일 좋다.
- 예를 들어 아동의 비순응적 행동이 관심을 받으면서 유지된다면 교사는 비유관적 관심을 10분마다
한 번씩 제공하는 것이다.
- 반대로 아동의 비순응적 행동이 과제수행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유지된다면 교사는 10분마다 쉬는 시
간을 비유관적으로 아동에게 제공할 수 잇다.
- 감각자극에 의해 자동으로 강화된 저항행동의 경유에는 감각자극을 비유관적으로 제공하여 목표행동
이 줄어들게 할 수 잇다.
- 행동을 줄일 수 있는 비유관적 감각강화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 행동을 하면서 받는 강화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②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 저항행동을 하려는 동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안전한 대안행동을 강화하도록 배워야 한다.
- 부적응행동으로 얻는 강화와 같은 형식의 효과성을 가져오기 위한 대안행동은 부적응행동과 잘 맞아
야 한다.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주로 아동에게 대안적 기술을 가르치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 기능적 의사소통훈련을 통해 아동은 의사소통 사용을 강화하도록 배우게 되며 이는 수화, 그림교환,
언어적 반응이 될 수도 있다.
- 이 기술교육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대안행동이 부적응행동보다 효과적이어야 한다. 즉 대
안행동이 부적응행동보다 더 일관되고 믿을만하게 강화전달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로서 저항행동이
줄어들게 하는 것이다.
③ 강화절차
- 강화를 비유관적으로 또는 대안행동에 반응하여 전달하는 것과 더불어 아동에게 바람직한 행동이 없
을 때도 정적, 부적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 아동이 특정시간동안 행동을 하지 않을 때 부적응행동과 양립할 수 없는 행동을 시켜야 할 때( 예:
반복적인 운동 움직임을 하는 것 대신에 주머니에 손을 넣는 것) 기능중심 강화를 전달함으로써 점
차 아동의 적절한 행동을 하려는 동기를 증가시킨다.
④ 소거
- 행동 중재 계획에서 가장 비판받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소거이다.
- 부적응행동에 강화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전에 유지된 강화가 행동발생 이후에 철회되는 것이다.
- 소거는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과 강화절차와 같은 다른 중재 요소와 함께 구성될 때 유용하다.
- 소거를 통해 문제행동을 유지하는 유관성을 제거하지만 그동안 아동이 적절한 행동을 하려는 동기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 관심으로 유지된 행동은 소거의 한 방법으로서 행동이 발생한 이후 관심을 철회한다. 즉 계획된 무
시를 하는 것이다.
- 요구로 부터의 회피로 유지된 행동은 그 행동이 발생한 이후에 현재 과제를 통해 학생을 격려하는
방식으로 ‘ 도피소거’ 를 활용할 수 있다.
- 자동으로 강화된 행동은 그 행동의 특성을 제거하거나 막는 과정을 적용하여 소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동으로 머리를 치는 아동의 머리에 핼맷을 씌워 행동을 소거하는 것이 있다.
- 소거절차를 사용하기 전에 행동의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독단적으로 사용할 경우 소
거절차는 효과가 없거나 금지되어야 한다.
3. ADHD 아동의 문제행동수정
- 중재 목표는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사회적 행동적 기능을 최대화하고 교실 내에서의 수행과 학
업성취를 다루는 것이다.
- 이런 부분이 수행되고 나면 아동의 문제행동을 줄이는 것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대안적인 친 사회적
행동을 가르치는 교육적 접근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1)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을 위한 학급 프로그램 고안 전 고려해야할 사항
① 기능평가를 통해서 현재 문제를 정확시 진단한다.
②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은 일반적으로 더욱 빈번하게 구체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③ 문제행동을 하면 꾸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정적강화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수를 늘린다.
④ 목표행동이 독립적 과제 수행동안 발생하는 것일 때는 그 과제 수행에 더 많은 단ㄴ 계를 포함하면
안된다.
⑤ 특정과제와 관련된 행동보다는(과제집중, 착석유지) 학업성과와 수행(정확성과 과업완성)을 포함해야
한다.
⑥ 아동이 선호하는 활동(자유로운 선택, 컴퓨터 사용)을 강화물로 사용할 수 있다. 아동이 강화물에 지
속적인 관심을 보이도록 하기 위해 강화물은 아동이 원하는 것으로 바꾸어가면서 제공한다.
⑦ 아동이 수업시간에 적절한 행동을 할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와 관련된 것을 미리 말해주는
것이 좋다. 수업 중 목표행동을 받으면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알린다.
⑧ 일상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평가한다.
2) ADHD 아동의 문제 행동수정
⑴ 토큰 경제법
① 토큰 경제법을 실행할 때 목표행동으로 한두가지 문제행동을 선정한다. 목표행동으로 학업성취( 여러
문제를 완수하기, 정확하게 완수하기 등)나 특정행동(또래와 적절한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하며 행동
은 쉽게 관찰하고 모니터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한다.
② 이차적 강화물 유형을 정한다. 연령이 어린 경우 실질적 보상(스티커, 포인트 등)에 반응이 좋고 5세
이하의 아동에게는 토큰경제법 대신에 1차적 강화(칭찬, 사회적 관심)이 더 적절하다.
③ 토큰과 교환할 수 있는 목록을 작성한다. 저가, 중간, 고가품의 물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④ 토큰은 교실에서 적어도 하루에 한번 특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것이 좋다.
⑤ 이후 지속적으로 평가하면서 새로운 행동을 추가하고 숙될된 행동은 목록에서 지우며 보상물을 바꾸
거나 더 좋은 것으로 변경한다.
⑥ 반응대가(토큰뺏기)는 몇몇의 적절한 행동이 달성되면 포함시킬 수 있다.
⑵ 행동계약
① 교사와 학생간의 협상된 계약적 동의가 있어야 한다.
② 교사와 학생은 절절한 행동과 행동 결과를 유관하는 것에 논의한다.
③ 이 전략은 7세 이상의 아동에게 가장 효과적이다. ADHD로 진단받은 아동에게 행동계약을 시행할
때는 행동과 결과 간의 간격이 넓게 지연되어서는 안된다. 수업이 끝날 때나 학교에서 마칠 때 강화
물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⑶ 반응대가
① 부정적인 행동에 따라 특권이나 토큰을 빼앗는 것을 유관하는 것이다.
② 정적강화 절차와 일치하는 반응대가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③ 정적강화 절차를 반응대가와 함께 시행할 때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은 학업적 정확성, 자습의 동기
화, 과업행동이 향상된다.
④ 고려할 점은 부정적인 반응대가 요소보다는 긍정적인 면(포인트, 토큰, 스티커 획득)을 강조해야 한다
는 것이다.
⑷ 타임아웃
① 가벼운 처벌 전략으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다.
② 정적강화물에서 아동을 격리하는 방법으로서 이 전략이 효과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강화 받는 환
경에서 격리되어 있을 때 아동의 행동의 기능이 교사의 관심추구, 부정적 행동이 일어난 즉시 적용
할 수 있을 때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좋고 최소한의 시간동안(예: 1~5분) 효과적으로 이 전략을 적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반응대가 전략과 유사하게 타임아웃을 실시할 때 정적 강화물과 함께 활용해야 한다.
④ 타임아웃은 좀 더 긍정적이고 덜 제한적인 행동전략이 부정적 행동을 다루는데 실패했을 때만 사용
하지만 공격적이고 심각한 파괴적인 행동이 나타날 때는 즉각적으로 타임아웃과 같은 전략을 시행해
야만 한다.
⑸ 매일의 행동기록 카드
- 가정-학교 의사소통 방식은 학급에서 행동변화를 촉진하는데 효과적이다. 이 시스템의 이점은 아동
이 행동과 유관된 피드백을 직접 받고 교사의 일일 피드백을 부모가 받을 수 있으며 학교와 가정 모
두에서 보이는 절절한 행동에 정적강화물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3) 자기관리체계
- ADHD 증상을 보이는 아동을 위한 자기관리시스템에는 자기모니터링과 자기강화가 있다.
- 인지와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인지행동 치료와 관련이 있다.
⑴ 자기관찰
- 목표행동의 사례를 관찰하고 자기기록을 하는 것을 말한다.
- 청각,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여 특정시간에 자신의 행동을 기록하는 것을 상기시키기 위해 활용된다.
- 책상에서 행동 그래프를 그리도록 한다.
- 이러한 전략은 주의력과 관련된 행동 대신 과제완수나 정확성을 관찰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⑵ 자기강화
- 자신의 수행을 모니터하고, 평가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외부중심 시스템을 점차 줄이고 스스로 행동하도록 내부시스템으로 옮길 때 유용하다.
-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은 스스로 행동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한다.
■ 참고자료
'행동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25. 인지행동치료 (79) | 2023.04.26 |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24. 상담의 방법 (72) | 2023.04.26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23. 아동기 장애 (64) | 2023.04.25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22. 행동수정 중재사례 (76) | 2023.04.24 |
보육교사, 상담심리, 임상심리사, 심리학 등 행동수정 요점 요약 21. 아동기 성격발달과 문제행동수정의 실제 (55) | 202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