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발달심리학 요점 요약 21. 아동의 인지발달2

롤라❤️ 2023. 5. 10. 14:46
반응형

21. 아동의 인지발달2

3 전조작기의 인지적 특성
1) 상징적 표상능력의 획득
▶ 상징놀이
- 영아기 동안 발달되었던 도식이 내적으로 표상됨으로써 전조작기에 상징적 표상 능력을
획득하게 됨
상징적 표상(symbolic representation): 과거와 현재의 사건이나 경험 혹은 개념
을 나타내기 위하여 행위와 심상, 단어 및 그 외의 다른 기호나 표시 같은 다양한
상징을 사용하는 능력
- 영아기 말경에 이르면 감각운동적 놀이는 부모 행동을 정교하게 모방함으로써
상징놀이로 대치됨
- 초기의 상징 놀이: 잠자는 흉내, 개나 고양이의 흉내, 마루를 쓰는 흉내, 자동차를
운전하는 흉내 등 친숙한 활동을 단순하게 반복
- 점차, 놀이는 풍부하고 상징적으로 변화
Ex) ‘소방관’ 놀이 소방차, 호스, 사다리, 엔진, 사이렌 등 물건이 될 수 있으며
모든 사람은 구조자인 동시에 피구조자가 됨
- 유아는 놀이를 통하여 내적 감정을 표현하며, 놀이 속에 독특한 성격과 상황을 창조해냄
▶ 상상의 놀이 친구
- 가장 세련된 형태의 상징놀이는 상상의 놀이친구를 창조해 내는 것
- 상상의 놀이친구는 유아 자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고 유아와 마찬가지로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자기고 있는 생물체
- 주위에 아무도 없을 때에는 유아가 내적 감정을 털어놓는 대상이 됨
- 비행을 저지른 후 책임을 떠맡는 속죄양이 됨
-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유아들은 나쁜 일인 줄 알면서도 비행을 저지르고 그 책임
을 놀이친구에게 떠넘김
- 부모를 불쾌하게하기를 원치 않는 유아들은 친구의 행동을 제지하려고 했으나,
말을 듣지 않았다고 함으로써 거짓말한다는 비난을 받음
- 상상의 놀이친구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은 더 많은 친구를 가지며 사교적이며 덜
수줍어함
- 창의적이고 가족활동에도 더 많이 참여하며 또래와 성인들에게도 더 협조적
☞ 상상의 놀이친구는 유아의 발달을 촉진시킴
 
2) 중심화 경향
▶ 자아중심성: 이기적이며 분별력이 없는 것이 아닌 단지 상징적 견해가 자기중심적이라는 의미
- 피아제의 ‘세 개의 산’ 실험: 테이블 주위를 한 바퀴 돌게 한 다음 자리에 앉힌 뒤,
Piaget 의 관점을 선택하게 하였을 때, 아동은 자신의 관점에서 선택하기 때문에 올바른 답을 할 수가 없음

- 자아중심성 극복은 약 8세 이후에 가능
- 아동의 자아중심성은 이와 같은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님
-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지 못한 자아중심적 사고와 행동
을 함

▶ 물활론적 사고
- 자아중심성으로부터 나오는 물활론적 사고
- 모든 자연물은 생명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으로 이 시기의 아동들은 무생물을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자신과 같이 사고하며, 소망이나 감정 혹은 의도를 갖는다고 생각
☞ 전조작기 아동들은 사람의 생각이나 의도를 자연적 사건에 자기중심적으로 적용하기 때문
ex) 아동의 물활론적 사고를 활용해 인기를 얻은 대표적인 예: 타요

▶ 직관적 사고
- 사물의 지각적 속성을 바탕으로 사고하는 전조작기의 아동들은 현재 보고 듣는 것을 바
탕으로 사고하기 때문에 직관적임
☞ 이 시기 아동들은 사물의 두드러진 속성에 압도되어 두 개 이상의 차원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고 사물의 크기나 모양 혹은 색깔과 같은 하나의 특징적인 지각적 속성에 근거해 추론

전도추리(transductive reasoning): 사물이나 사건의 추론시 단지 개별적 특성만 고려하는 추론 형태
ex) 7세 아동의 전도추리
태양은 살아있는가? 죽은 것인가? 살아있다 → 태양이 움직이니까
하지만 ‘움직이는 모든 것은 살아 있는 것이다’라고 답하지는 않음

- 어른들의 추리는 특수에서 일반(귀납적) 혹은 일반에서 특수(연역적)로의 형식을 취하지
만 전조작기 아동들의 추리는 특수에서 특수의 형식을 취함

4 구체적조작기의 인지적 특성

1) 보존개념
▶ 물질은 형태나 용기가 변한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동일한 상태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는 것
- 크기보존, 무게보존, 수보존, 길이보존, 부피보존 등 다양한 차원에 적용될 수 있음
- 보존개념을 획득한 아동은 지각적 단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형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물체는 동일하다고 주장함
ex) 아래 문제에 대해서 아동이 ‘양이 같다’ 보존개념을 획득한 것

▶ 앞서 말한 액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의 중요한 개념이 동원되어야 함
▶ 보존 개념은 환경에 의해 쉽게 영향 받음
 

- 동일성: 아동은 더 이상의 액체가 첨가되거나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길고 좁
은 컵과 높이는 낮으나 넓은 컵의 액체의 양은 같다고 답할 수 있음
- 가역성: 높이는 낮으나 넓은 컵의 액체를 다시 길고 좁은 컵에 부으면 원래의
양으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같다고 말할 수 있음
- 보상성: 길고 좁은 컵의 액체의 높이가 더 높지만 높이가 낮은 컵은 더 넓기 때
문에 액체의 양은 같다고 말할 수 있음

2) 분류기술
▶ 어떤 대상이 공통적으로 함께 지니고 있는 차원에 따라서 물체를 분류하고 통합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위계적인 방식으로 하위그룹을 나열하여 하나의 새로운 그룹으로 묶는 능력
- 대상과 대상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관련성을 이해함으로써 비로소 획득될 수 있는 능력

Q. 장미꽃과 튤립꽃 중 어느 꽃이 더 많은가?
- 장미꽃
Q. 장미꽃이 꽃 보다 더 많은가?
- 전조작기 아동들은 장미꽃의 지각적 특성에 압도당하여 상위개념인 꽃과 하위개념인 장
미꽃을 뚜렷하게 구별하지 못하고‘예'라고 답함

▶ 구체적 조작기 아동들은 사물이 위계적인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
- 8-9세의 아동들은 상위개념과 하위개념간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조작기
아동들이 나타내는 지각적 오류를 범하지 않음

3) 서열기술
▶ 6-7세 아동은 배열을 위한 계획을 가지고 짧은 막대기부터 긴 막대기까지 차례대로
정확하게 배열할 수 있음
▶ 구체적 조작기 동안 아동들은 그들의 서열능력을 바탕으로 환경 내의 사물들을 분류하고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을 즐거워함

 
<전조작기 사고와 구체적 조작기 사고 비교>

개념 전조작기 사고 구체적 조작기 사고
자기중심성 • 타인도 자신과 동일한 시각을 갖고 있다
고 생각
• 때때로 자기중심적으로 반응
• 타인의 다양한 시각에 대해 훨씬 잘 이
해함
물활론 • 스스로 움직이는 친숙하지 않은 물체는
생명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
• 생명체의 생물학적 기초에 대해 좀 더
알게 되며 무생물에 대해 생명체적인 특
징을 부여하지 않음
인과관계• 제한적으로 이해, 전도적(transductive)
사고를 함으로써 두 개의 연달아 일어나
는 사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생각
• 인과관계 법칙에 대해 보다 잘 이해 (청
소년기 이후로 계속 발달)
지각중심의 사고
(중심화)
• 문제에 대한 답변을 지각적 외양에 근거
를 두고 판단
• 상황의 단일한 측면에만 중점
• 현혹적인 외양은 무시
• 상황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중점을 두게
됨 (탈중심화)
비가역성/가역성• 목격한 행동을 정신적으로 원상태로 돌
리지 못함
• 물체나 상황이 변화되기 전 상태가 어땠
는지 거꾸로 돌려 생각 못함
• 목격한 변화를 무효화하여 전후 상태 비
교 가능
• 상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판단 가능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