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발달심리학 요점 요약 46. 성인기의 단계적 특징

롤라❤️ 2023. 5. 24. 07:41
반응형

46. 성인기의 단계적 특징

구분 성인초기 성인중기 성인후기 성인후기의
후기
허비거스트 18-35세 35-60세 60세 이상
레빈슨 17-40세 40-60세 60-85세 85세 이후
이 책의 구분 26-45세 45-65세 65-85세 85세 이후

 
* 뉴가르텐과 그 동료들은 성인기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사회적 시계’의 개념을 제시
▶ 사회적 시계: 행동을 자극하고 제어하는 연령규준과 기대연령
▶ 결혼, 자녀양육, 은퇴와 같은 의미 있는 인생사건, 그 사회 내에서 합의된 연령규준에 따라 일어날 수 있도록
▶ 연령규준은 적정연령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사회적 압력의 근원으로 작용

1) 기대여명의 증가와 고령화 사회
▶ 기대여명의 증가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를 가져옴
▶ 전체 중 고령인구 비율 2008년 10.3%, 2010년 11%, 2020년에 이르면 15%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통계청, 2013)
▶ 2017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인구의 14.2%(통계청,2018)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7% 이상  고령화 사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14% 이상  고령사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20% 이상  초고령화 사회

 
▶ 우리나라는 2000년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2% 차지함으로써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
듬, 2018년 14%를 초과하여 고령사회가 되었음
▶ 미국은 고령화 사회, 영국과 스웨덴은 1975년, 프랑스 1980년 일본은 1996년에 각각 고령사회로 진입

2) 성인초기의 발달과업
▶ 친근감 확립
- 가족 이외의 다른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
- 능동적인 과정으로 자신의 정체감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없이 타인과 개방적이고 지원적이며 애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에 해당
- 친근감을 형성하지 못한 사람들은 고립감을 경험
▶ 타인과의 친근감 확립은 자신의 정체감 확립을 손상시킨다 생각하고 자신과 타인과의 관
계형성을 제한
▶ 정체감 확립
- 대다수의 성인들에게 가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가족 간의 친근감 형성이 성인초기 정
체감 형성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
- 결국 성인기의 정체감 발달은 부부 사이의 친근감 형성을 통하여 ‘사랑하는 사람으로서의
나’ 라는 생각을 다듬는 과정에 해당
- 정체감 형성을 위해 가족 다음으로 직업이 중요하다고 주장

3) 성인중기의 발달과업
▶ 연령적으로 45-65세, 그 사회의 지배계층, 명령하는 세대 라고 불림
▶ 성인중기는 남녀 모두 다음 세대를 돌봄, 미래를 위해 긍정적 유산을 남김, 자신의 혜택을
사회로 환원, 다른 생산적 활동에 몰두
▶ 미래 세대를 위해 의미 있는 유산이 포함되는 종결을 추구함
→ 생산성을 의미, 자녀양육을 위해 노력한 결과로 자녀가 어떻게 성장하였는지에 큰 관심을 가짐
▶ 자녀의 적응과 안녕은 부모의 안녕과 직접적으로 연결됨, 자녀의 교육적 성취, 직업적 성공 부모의 큰 만족감
▶ 텅빈 보금자리 시기
- 자녀의 대학진학, 군대입대, 취업, 결혼 등으로 인해 가정을 떠나게 됨
- 텅빈 보금자리(empty nest), 양육후기, 부모역할의 은퇴, 자녀 진출시기로 불리어짐
- 자녀양육 활동이 감소됨에 따라 역할변화가 일어남, 대표적으로 부부관계의 변화
- 여성의 경우 어머니의 역할로서 자신을 규정하는 경우가 많아 허전함과 상실감을 크게 경험
- 부부간의 응집력과 애정이 오히려 증가, 자녀의 독립이 경제적 여유를 만들며 이를 자신
생활방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활용
▶ 샌드위치 세대
- 성인자녀들의 연령이 50-60세, 그들 부모의 연령은 70-80세가 됨
- 노부모에 대한 자녀의 역할은 물론,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시기
- 때로는 자녀들에게 경제적 도움, 손자녀를 양육, 노부모를 보살펴야 하는 시기

4) 성인후기의 발달과업
▶ 은퇴 후의 상활에 적응해야 하는 노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
▶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생활만족의 가장 중요한 요건 중 하나
▶ 은퇴는 수입의 상실과 함께 사회적 지위의 상실을 가져옴
▶ 가교 일자리(bridge job)를 가지려고 노력
- 가교 일자리: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완전한 은퇴로 이동하기 전에 갖는 일자리
▶ 가교 일자리는 단기간의 일자리, 파트타임직업, 때로는 봉사활동의 형태를 취함
▶ 가교 취업은 갑작스러운 은퇴가 아닌 점진적 은퇴이기에 은퇴 후 생활에 더 잘 적응
▶ 성인후기 조부모가 되고 배우자의 죽음, 경제적 문제로 인한 자녀에게 의존하게 되는 경우
새로운 적응이 요구
▶ 에릭슨은 생애 마지막 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자아통합의 발달이라고 제안
▶ 자아통합: 지나온 삶을 뒤돌아보며 후회 없이 자신의 삶을 수용할 수 있고 큰 두려움 없이
죽음에 직면할 수 있는 것을 의미

5) 성인기의 스트레스와 대처
▶ 건강, 경제문제, 대인관계 등에서 다양하고 중요한 변화들이 일어남
▶ 스트레스: 개인의 안녕을 위협하는 사건으로 자신의 대처능력으로는 처리하기 어렵다고 지각
될 때 주로 발생
▶ 규범적 변화들보다 비규범적 변화들이 더 큰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불안이나 우울 같은 심리
적 문제를 더 많이 일으킴
▶ 성인기 동안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의 변화
- 퇴행가설: 개인의 대처능력이 성인초기와 중기에 절정에 도달하고 그 이후에 감소한다는 주장
- 성장가설: 성인기 동안 계속해서 개선된다고 가정
▶ 중년성인들은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사회적 지원을 구하는 문제집중적 대처
▶ 노인들은 문제 자체를 수용하거나 잊어버리려고 노력하는 정서 집중적 대처 방식을 사용
▶ 퇴행가설, 성장가설 중 어느 가설도 옳다고 볼 수는 없음

대처해야하는 과제나 사건의 성격을 고려하며 모두 적응적인 방식일 수 있음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