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과 실제

임상 심리, 상담, 지도 등 상담이론과 실제 요점 요약 정리 24. 집단상담의 개요2

롤라❤️ 2022. 8. 4. 07:01
반응형

24. 집단상담의 개요2

1. 집단역동(Group Dynamics)


1) 집단역동
(1) 집단역동: 집단 구성원들 사이, 집단 상담자와 집단 구성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상호관계
(2) 집단역동은 집단이 형성되는 단계에서부터 작용
(3) 집단역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집단의 형성 및 발달단계로부터 집단의 상호작용과정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

 

2) 집단역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집단원의 배경: 성별, 연령, 출신지역, 학력, 결혼여부, 직업, 사회경제적 지위, 종교 그리고
인종, 민족 등
(2) 집단 목적의 명료성: 집단상담자와 집단원들이 집단목적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의 여부
(3) 집단크기: 집단의 크기가 너무 크면 집단원 개개인에게 주어지는 시간이 너무 적은 것에 대한
불만의 원인이 되고, 집단의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못하고 산만해지며, 집단원들이 자신을
드러내는 데 주저하게 되어 응집력 형성을 저해하게 됨
(4) 집단 회기의 길이: 집단회기의 길이는 집단원 개개인의 개인적인 관심사를 매우 심도 있게
다룰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언급할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함
(5) 집단모임 장소: 접근용이성, 방음시설 여부, 편안함 및 안정성, 탁자 사용 여부, 좌석 배열 등
(6) 모임의 빈도수: 집단 회기를 너무 자주 갖는 경우 집단원들은 자칫 지루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반면, 회기의 간격이 너무 떨어져 있으면 다시 만날 때 생소한 느낌이 들 수 있으므로
집단상담자는 집단목적에 합당한 모임의 빈도수를 결정
(7) 모임시간: 대학생, 성인 집단은 보통 하루 일과가 끝나는 늦은 오후나 저녁시간에 모임을 갖는
것이 일반적.
(8) 집단참여 동기: 집단참여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는가, 아니면 강제조치에 의해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집단역동이 달라질 수 있음
(9) 집단응집력: 집단상담자는 집단상담 초기에 집단구성원들이 서로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끈끈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
(10) 집단규범: 집단상담자는 집단구성원들이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을 집단상담 초기에
제안하고 적절한 토의를 거쳐 집단규범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
(11) 집단구성원의 역할: 집단상담자는 집단에 역행하는 역할을 하는 집단구성원을 적절하게
중재해서 그러한 역할을 차단시키는 것이 필요
(12) 다문화적 역동성: 효과적인 집단상담을 운영하기 위해 집단상담자는 ‘문화적 민감성’을 갖는
것이 필요

 

2. 집단응집력(Group Cohesiveness)

 

1) 집단응집력의 의미
-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신뢰하고, 집단의 일원으로서 계속적으로 존재하고 싶어 하는
정도

 

2) 집단응집력과 만족도
① 응집된 집단의 구성원들은 그렇지 못한 집단의 구성원들보다 집단에 대해 더 만족한다.
② 응집된 집단일수록 보다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고, 집단구성원들 간에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다른 구성원들에게 더 큰 영향을 주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보다 효율적이고 만족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3) 집단응집력 촉진 방법
① 집단의 초기단계에 신뢰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② 집단구성원이 그들 자신에게 중요한 측면을 서로 나눈다면, 그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집단응집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된다.
③ 집단목표와 개인의 목표는 집단구성원과 상담자가 협력하여 세울 수 있다.
④ 응집성은 모둔 집단구성원을 집단의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도록 종요함으로써 높아질 수 있다.
⑤ 응집성은 상담자가 자신의 역할을 집단구성원과 함께 나눌 때 높아진다.
⑥ 갈등은 집단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이기 때문에, 집단구성원들 간에 갈등이 발생했을 때
갈등의 근원을 인식하고 그것을 개방적인 태도로 다루는 것이 바람짃하다.
⑦ 집단의 매력과 응집성은 서로 관련된다. 집단구성원이 집단에 대한 매력을 더 많이 느낄수록
집단의 응집력은 강해진다.
⑧ 집단구성원은 집단에서 발생하는 일에 대한 그들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반응을 드러내도록
조장되는 것이 좋으며,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 모두가 격려되어야 한다.
▷ 집단의 치료적 요인(얄롬, Yalom)
① 희망감 고취(instillation of hope): 삶에 대한 희망감
② 보편성(universality): “나 혼자가 아니구나”하는 느낌
③ 정보전달(imparting information): 건강한 삶에 관한 정보 습득
④ 이타심(altruism):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꺼이 나누어 줌
⑤ 일차가족집단의 교정적 재현(corrective recapitulation of the primary family group): 초기
아동기와 유사한 역동 체험을 통한 학습
⑥ 사회화 기법 발달(development of socializing techniques): 성숙한 사람들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사회화 기술 습득
⑦ 모방행동(imitative behavior): 다른 사람들의 긍정적 행동의 모방
⑧ 대인학습(interpersonal learning):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⑨ 집단응집력(group cohesiveness): 다른 사람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
⑩ 정화(catharsis): 과고에 표출해 본 적이 없었던 감정 방출
⑪ 실존적 요인(existential factors): 삶에 대한 책임 수용

 

3. 집단상담자(Group Counselor)

 

1) 집단상담자의 정의
(1) 집단행동의 중심에 의한 정의: 타인보다 더 많은 의사소통을 하며, 집단의 결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집단행동의 중심이 되는 사람이다.
(2) 집단목표 관점에 의한 정의: 집단을 어떤 목표로 향하게 하는 사람으로, 목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혼란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3) 집단구성원에 의한 정의: 집단구성원에 의해 지도자로 지목되는 사람으로서, 간혹
전문상담원으로서의 특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4) 집단수행의 수준에 의한 정의: 여러 명의 가능성 있는 사람 중 집단수행의 수준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 사람이다.
(5) 조작적 정의: 집단에서 지도적 행동을 하는 사람이다.

 

2) 집단상담자의 역할
(1) 집단과정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
① 집단긴장의 처리: 모든 집단에는 어느 정도의 긴장이 존재하는데, 집단상담자는 집단의
긴장상태를 인식함으로써 집단을 더 잘 파악하게 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② 집단구성원들의 1차적인 과제와 2차적인 만족
- 1차적인 과제
l 도움을 구하고 문제로부터 해방되거나, 다른 사람들과 보다 생산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한다.
l 상담경험을 통해 무엇을 성취하고자 하는지를 지각해야 하며, 특히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집단 안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분명히 의식하도록 해준다.
- 2차적인 만족
l 다른 사람들과의 편안한 관계를 형성한다.
l 원하는 자신의 이미지가 집단에 투사되도록 한다.
l 집단에서 자신의 역할이 주목받도록 한다.
l 자신이 성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고, 현명한 사람으로 인정받는다고 생각되도록 한다.
③ 상담자 자신의 느낌에 주목
- 자신의 느낌에 주목하고, 필요하다면 자신의 느낌을 집단구성원들에게 표현함으로써 상담작업의
촉진제가 되도록 한다.
- 상담자는 자신의 감정이 주로 자신의 성격에서 기인한 것인지 혹은 집단과정에서의
경험단서인지를 구별해야 한다.
- 집단과정의 단서로 활용하는 느낌은 트당하고 신뢰로와야 한다.

 

(2) 과정 중심적 태도의 촉진
① 상담자는 집단구성원들이 ‘지금-여기’의 상황에 초점을 두어 느끼고 생각하도록 하고, 과거의
이야기보다 현재의 의사교류 과정들을 검토하도록 자극한다.
② 상담자는 집단과정의 주요부분을 명료화하는 언급을 하거나 집단에 대한 상담자의 전망을
설명한다.

 

(3) 과정 명료화에 대한 집단구성원들의 수용
① 적절한 해석방법을 취해야 한다.
② 집단구성원의 행동 또는 감정을 범주화하거나 한정시키지 말아야 한다.
③ 집단구성원에게 총체적인 비난을 하지 말아야 한다.

 

(4) 과정 논평의 원리와 실제
① 자신이 만들어 낸 세계는 다른 사람들이 아닌 자신만이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② 변화에는 부담이 따르지만 큰 위험을 없다는 것을 인식한다.
③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변화해야만 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④ 확고한 결심과 실천이 따르면, 누구든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실제로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5) 과거사의 활용 범위
① 상담자의 해석에서는 흔히 내담자의 배경적 자료를 토대로 행동의 원인을 측정한다.
② 인간행동의 가장 심층적인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과거를 고려한다.
③ 과거를 언급하는 목적은 과거사에 대한 인식을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4. 집단구성원

1) 주요 과업
① 다른 집단원들과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 교류한다.
② 여기-지금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자기를 드러낸다.
③ 다른 집단원들에게 타당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④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 그리고 동기에 감추어져 있는 무의식적 욕구를 탐색한다.

 

2) 역할
(1) 집단 업무 역할
① 창안자(initiator) 혹은 공헌자(contributor)로서의 역할: 집단의 문제나 목표에 관한 새로운
아이디어나 변화된 방법을 제안하거나 건의하는 역할이다.
② 정보 모색자(infromation seeker)로서의 역할: 집단 내에서 다른 집단 구성원들이나 집단
상담자에게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구하는 역할이다.
③ 의견 모색자(opinion seeker)로서의 역할: 사실의 옳고 그름 보다는 집단이 지향하고 있는
가치관이나 제시된 제안 및 대안과 관련된 가치관에 대해 명료하게 짚고 넘어가는 역할이다.
④ 정보 제공자(information giver)로서의 역할: 집단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 하에
자신의 경험담을 일반화시켜 집단에 제시하는 역할이다.
⑤ 의견 제시자(opinion giver)로서의 역할: 제시된 제안이나 대안과 관련된 자신의 신념이나
의견을 말하는 역할이다.
⑥ 부연 설명자(elaborator)로서의 역할: 예를 들어 설명하거나 근거를 제시하여, 만일 그러한
착상과 제안이 집단에 의해 받아들여진다면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를 추론하는 역할이다.
⑦ 조정자(coordinator)로서의 역할: 다른 집단 구성원들의 다양한 아이디어와 제안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거나 명백히 하는 역할이다.
⑧ 방향 제시자(orienter)로서의 역할: 집단에서 이야기가 오고 갔던 내용을 요약함으로써 집단의
목표달성과 관련하여 현재 그 집단이 어느 위치에 와 있는가를 알려주는 역할이다.
⑨ 평가자(evaluator) 혹은 비평자(critic)로서의 역할: 집단 업무에서 집단 기능의 기준에 비추어
집단의 성취도를 고려하는 역할이다.
⑩ 활력소 제공자(energizer)로서의 역할: 집단의 분위기를 활성화하여 어떤 구체적인 결정에
도달할 수 있도록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이다.
⑪ 진행 기술자(procedural technician)로서의 역할: 집단을 위한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집단 과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이다.
⑫ 기록자(recorder)로서의 역할: 집단에서 제안되거나 토론한 내용을 받아 적거나 집단이 결정한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는 역할이다.

 

(2) 집단 건축과 유지 역할
① 격려자(emcourager)로서의 역할: 다른 집단 구성원들이 집단에 기여하는 것에 대해 지지하고
수용하는 역할이다.
② 화합자(harmonizer)로서의 역할: 집단 구성원들 사이에 감정 대립이 발생할 때 중재하고
의견의 불일치가 발생할 때 화합을 시도하며 갈등이 야기될 때 긴장을 해소하는 역할이다.
③ 타협자(compromiser)로서의 역할: 자신의 아이디어나 위치가 관련되어 있는 갈등 상황에서
양보하거나 잘못을 시인함으로써 의견 대립이 발생한 집단과 동등한 정도의 양보를 유도하는
역할이다.
④ 문지기(gate keeper) 혹은 촉진자(expediter)로서의 역할: 다른 집단 구성원들의 참여를
격려하거나 촉진함으로써, 혹은 대화가 잘 진행되도록 어떤 규칙을 제안함으로써, 대화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이다.
⑤ 기준 설정자(standard setter)로서의 역할: 집단이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어떤 기준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거나 집단 과정의 수준을 평가하는 데 기준을 적용하는 역할이다.
⑥ 집단 관찰자(group observer) 혹은 해설자(commentator)로서의 역할: 집단 과정의 다양한 면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여 집단 상담자와 집단 구성원들이 집단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할 때 나름의
해석과 함께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이다.
⑦ 추종자(follower)로서의 역할: 집단이 움직이는 대로 따라가고 다른 집단 구성원의 아이디어나
제안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역할이다.

 

(3) 개별 역할
① 공격자(aggressor)로서의 역할: 다른 집단 구성원들이나 집단 상담자는 비난함으로써 그들의
위치를 깎아내리고자 하는 역할이다.
② 차단자(blocker)로서의 역할: 매사에 부정적이고 저항적인 태도를 보이는 집단 구성원이
담당하는 역할이다.
③ 자기 고백자(self confessor)로서의 역할: 집단 상담자와 집단 구성원들을 마치 자신을 위해
마련된 청중인 양 여기고 이기적이면서도 집단의 발전과 무관한 느낌이나 통찰 또는 생각 등에
대해 거론하는 역할이다.
④ 바람둥이(playboy)로서의 역할: 집단 과정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서, 매사에
냉소적이고 수수방관하는 태도를 보이는 역할이다.
⑤ 압제자(dominator)로서의 역할: 자신의 나이나 권위 또는 우월감을 내세워 전반적인 집단이나
집단 내의 특정 집단 구성원들을 통제하고 조종하려고 시도하는 역할이다.

⑥ 도움 모색자(help seeker)로서의 역할: 자신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나 개인적인 혼란감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하여 호소하거나 이유 없이 자신을 격하시킴으로써 다른 집단 구성원들에게
동정심을 기대하거나 동정적인 반응을 얻어내려고 시도하는 역할이다.
⑦ 특정 관심 탄원자(special interest pleader)로서의 역할: 매우 특수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자신의 개인적인 욕구에 가장 잘 부합되는 상투적인 내용 속에 자신의 약점이나 편견을 감추려고
시도하는 역할이다.

 

3) 집단 구성원의 문제행동
(1) 대화 독점
① 다른 집단 구성원과 관련된 상황과 연결시켜 자신의 일상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는 경우이다.
② 대화를 독점하는 행동은 이를 지켜보아야 하는 사람들을 피곤하게 만들어, 점차 좌절을 겪게
되는 다른 집단 구성원들이 집단 상담자에게 분노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③ 집단 상담자는 집단 구성원들이 대화를 독점하는 집단 구성원에 대해 노골적으로 좌절감을
표현하기 전에 즉각적으로 개입하여 더욱 생산적인 행동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 소극적 참여
① 소극적인 집단 구성원이 집단 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 다른 집단원들에게 불필요한 의구심을 자아낸다.
- 심한 경우 불필요한 죄책감을 갖는 집단원이 생길 수 있다.
- 다른 집단원들은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원에 대해 아는 바가 별로 없다고 느낀다.
- 다른 집단원들은 일방적으로 관찰당하는 느낌을 갖게 되어 불안 및 분노를 유발할 수 있다.
- 소극적 집단원을 의식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다른 집단원들의 집단 참여가 둔화되고 집단
역동이 침체되어 집단의 응집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② 집단 상담자는 집단원들 모두가 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습관적 불평
① 습관적으로 불평불만을 늘어놓는 집단원들의 태도와 행동은 집단의 분위기를 해치고 집단
과정의 흐름을 저해한다.
② 습관적 불평자에 대한 대처 방안
- 개별 면담을 통해 불평의 이유를 알아본다.
- 생산적인 집단을 위해 정중하게 협조와 도움을 요청한다.
- 단순히 집단 상담자의 관심과 집단에서의 역할을 원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공한다.
- 집단에 활력을 불어넣는 집단원에게 질문과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집단의 분위기를 고양시킨다.
- 불평적인 집단원과 시선 접촉을 피함으로써 나서지 않게 한다.


(4) 일시적 구원
① 다른 집단원의 상처를 달래고 고통을 줄여 사람들을 즐겁게 하고 자신도 안정을 취하려는
욕구의 표현이다.
② 일시적 구원은 언뜻 다른 집단원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보살피는 행동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고통을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가식적 도움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③ 따라서 다른 집단원이 고통스런 경험을 노출할 때 그 또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사실적 이야기 늘어놓기
① 집단원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에 대해 말하기보다 옛날이야기, 즉 과거에 있었던 사실 중심의
이야기를 늘어놓는 것이다.
② 사실적인 내용만으로 엮어진 이야기나 다른 사람 또는 자신의 생활환경에 관해 늘어놓는
행동은 집단원 자신의 진솔한 느낌이나 생각의 노출을 꺼리는 방어 수단인 경우가 많다.
③ 사실적 이야기를 늘어놓는 경우, 공감적 이해를 통해 해당 집단원이 지금-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과거의 경험에서 야기된 감정을 적절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6) 질문 공세
① 집단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질문은 자칫 다른 집단원에 대한 호기심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잘못 사용될 수 있다.
② 질문 공세를 하는 집단원에게 질문 속에 포함된 핵심 내용을 자신을 주어로 해서 직접적인
방식으로 표현해 보도록 도와야 한다.

 

(7) 충고나 조언 일삼기
① 충고는 당장 도움이 된다고 할지라도 결국 앞으로 유사한 상황에 처하게 될 때 스스로
해결책을 찾는 데 어려움을 주게 되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② 집단원이 충고나 조언을 일삼는 경우 집단 상담자는 충고의 대상이 되는 집단원이 자신의
문제와 갈등을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탐색하게 함으로써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8) 적대적 태도
① 집단원 자신의 내면에 누적된 부정적인 감정을 직, 간접적인 방식으로 집단 상담자나 다른
집단원들에게 표출하는 것이다.
② 집단에서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집단원은 주로 간접적인 활동, 즉 비판적인 표현, 농담,
빈정거림, 치고 빠지는 식의 행동을 보인다.
③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집단원의 행동이 집단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집단원들에게 또 다른
적대적 태도와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④ 집단원의 적대적 행동에 대처하는 방법 중 하나는 다른 집단원들이 그 집단원에게서 받는
영향, 느낌, 원하는 행동에 대해 경청하게 하는 것이다.

 

(9) 의존적 자세
① 의존적 자세를 보이는 집단원은 집단 상담자나 다른 집단원들이 자신을 보살피고 자신에 관한
사안을 대신 결정해 줄 것으로 기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② 의존적 자세를 보이는 집단원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는 자신의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10) 우월한 태도
① 우월한 태도를 보이는 집단원의 태도와 행동은 다른 집단원들에게 불필요한 적대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집단의 역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② 우월한 태도를 보이는 집단원에 대한 대처 방안은 그의 느낌이나 집단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점을 탐색함으로써 그 자신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방어적이지 않은 상태테서 스스로
점검하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11) 소집단 형성
① 소집단 형성의 문제점
- 집단 밖의 모임은 다른 집단원들과의 친밀감에서 차이가 나게 되고, 공유된 정보의 차이로
괴리감을 조장하여 결국 집단의 응집력을 해칠 수 있다.
- 집단 내에 소집단이 형성됨으로써 그 집단원들이 자신의 중요한 문제를 전체 집단 내에서
논의하기보다는 집단 밖에서 다루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 집단 과정에서 같은 소집단에 속하는 집단원들은 옹호하는 반면 속하지 않는 집단원들은
의도적으로 따돌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② 집단 내에 소집단이 형성되는 경우 집단 상담자는 집단원들에게 집단이 진정 효과적으로
기능하기를 바라고 또 발전하는 데 관심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하다.
③ 집단 상담자는 집단원들이 소집단 형성이 비생산적이고 집단 응집력에도 저해가 된다는
사실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12) 지성화
① 지성화(intellectualization)는 감정에 저항하는 일종의 자아방어 형태로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집단 내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② 지성화를 일삼는 집단원이 포함된 집단의 문제점
- 집단의 신뢰감 형성을 가로막음
- 집단원들의 자기 개방을 가로막음
③ 지성화를 일삼는 집단원을 돕기 위한 방안은 그에게 자신이 말하는 내용과 관련된 감정은
인식하고 직접 경험하고 정리하여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

 

(13) 감정화
① 감정화(emotionalization)란 지성화의 상대되는 개념으로서, 인지적이고 이성적인 면은
철처하게 외면하면서 매사에 감정적으로 처리하여 집단의 흐름을 저해하는 것이다.
② 감정화를 일삼는 집단원의 문제는 슬픈 감정 자체보다 다른 집단원들에게 관심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③ 또한 집단원에게 초점을 맞추고 관심을 집중시키느라 집단의 시간을 지나치게 소비할 수 있다.
④ 감정화를 일삼는 집단원에게는 반드시 시간을 염두에 두고 문제의 집단원에게 어떻게 반응을
보일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