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문학강의 8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8. 고전산문

제 8장 고전산문 1. 서론 정의 * 1894년 갑오경장 이전에 창작된 ‘국문소설’ 및 ‘국문으로 쓰여진 교술산문’ 국문 소설 * 최초의 국문소설은 허균이 창작한 《홍길동전》 - 사회성을 뚜렷이 갖는 작품으로 출발 * 17세기는 국문소설의 발흥기 * 여성 독자층의 형성 * 국문의 광범위한 보급 * 오래 전부터 창작되어 온 한문소설 창작 경험의 축적 * 임진왜란 이후 초래된 서민의 자아 각성 및 새로운 문학환경의 조성 국문으로 쓰여진 교술산문 * 국문 독자층의 요구에 따라 발전 *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견문한 것을 기록한 글 → ‘연행록’ * 유배의 경험을 기록한 글 * 궁중의 비사를 기록한 글 * 유람 기행문 국문소설 판소리계 소설 * 광대들에 의해 가창된 구비서사시인 ‘판소리’로부터 소설화된 일군의 ..

한국문학강의 2023.01.10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7. 고전시가 2

7. 고전시가 2 4. 악장 정의 * 본디 중국에서 국가의 행사에 사용하던 공적인 음악의 노랫말 * 조선 초기에 궁중의 행사나 연희의 음악에 맞추어 노래했던 시가들 목적 * 개국의 호방한 기상을 드러내면서 왕조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고 축복 내용 * 왕조 개국의 필연성과 도덕성 * 발전을 기원하는 이념성 및 교훈성 표기 한시로 된 것 * , 경기체가 형식으로 된 것 한시에 토를 단 것 * , , 우리말 노래에 속요의 여음을 단 것 * 작품 * 15세기 당시의 우리말이 지닌 아름다움 과 묘미를 마음껏 구사 * 석가의 일대기를 노래로 지은 것 필요성의 감소 * 국가의 기틀이 확립됨과 동시에 신흥국가의 참신한 기운이 사라졌기 때문 * 찬양과 기원이 개인 차원의 것으로 인식되면서,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로 변..

한국문학강의 2023.01.10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6. 고전시가

제 6 장 고전시가 1. 서론 시가 * 한국어로 지어 노래한 시 작품 고전시가 * 상고시대부터 19세기까지의 시가 특징 * 음악과 함께 지어지고 향유되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음악과 분리되었음 - 율격적 형식성의 구체화 - 언어 자체가 지니고 있는 음악성인 율격을 갖춤 * 구비문학과의 관계가 매우 긴밀함 - 최초의 시가는 단순한 형태의 구전문학 - 구비문학인 민요와 매우 깊은 관계를 지니고 있음 시대적 전개 상고 * , , 등 * 대체로 민요로 향유되어 독특한 형식은 없었음 * 제의적인 목적이나 서정 표출을 위한 노래가 특별히 양식화되지 않은 채로 향유되었음 신라 * 향가 * 양식화된 고전시가의 처음 - 노래의 형식성을 갖춘 정형성을 지님 - ‘향찰’이라는 독특한 표기를 채택하여 문자로 기록됨 * 개인 ..

한국문학강의 2023.01.09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5. 한문학 2

5. 한문학 2 3. 서사한시 특징 * 한국 한시의 독자적 특성 * 우리나라는 서사시를 한문학에 수용하여 오랜 전통을 이룩했음 중세 : 이규보의 특징 * 무신의 난 이후 고조된 민족의식의 한 표현 * 흔들리는 부패한 고려왕살에 대한 경계심의 표현 * 당시 점증하고 있는 민족의식을 더욱 복돋우려 한 의지 * 우리나라를 세운 민족적 영웅을 노래함으로써 민족사에 대해 재인식 시서 (詩序) * “동명왕은 환상이 아니고 성인이었으며, 귀신이 아니고 신이었다.” * 동명왕은 하늘이 내신 분이므로 우리나라는 바로 하늘이 세우신 나라라는 것 시의 내용 * 해모수, 주몽, 유리의 영웅 삼대를 묘사 - 이규보의 관심은 해모수와 주몽에게 놓여 있음 * 주인공이 시련을 극복하고 승리했다는 데 민족적 자부심과 용기를 느낌 의의..

한국문학강의 2023.01.09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4. 한문학 1

제 4 장 한문학 1 1. 서론 정의 * 우리 문사들이 한자를 매체로 쓴 문학작품을 총괄해 부르는 것 시기 * 삼국시대부터 1919년 상해 임시정부가 설치된 시기까지 특징 * 어떤 면에서는 국문학 작품보다 우리 민족의 삶과 체험을 한층 절실히 표현했음 - 시대상황을 예리하게 재현하고, 비판하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 * 독자적인 민족문학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보여 주고 있음 * 고유문학과 상호 유리되어 독자적인 전개를 한 것이 아니라 때로 상충하고 대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문학사를 형성했음 갈래 * 정치문서나 의례적인 갈래, 교술 갈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근대로의 이행기’에는 소설, 몽유록, 야담 등 새로운 경험을 표현하는 유형들이 나타남 - 개성적이면서 자세한 관찰을 요구..

한국문학강의 2023.01.08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3. 구비문학 3

3. 구비문학 3 3. 민요 1) 민요의 자료 개관 정의 *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구전되는 노래 특징 * 여러 사람이 함께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개인의 특수한 정서가 중시되지 않음 * 민요의 실체를 이루는 악곡, 가사, 기능이 있음 악곡 음악적 요소 민족음악학 가사 문학적 요소 구비문학 분리될 수 없는 민요의 실체 기능 민속적 요소 민속학 2) 민요의 기능과 분류 * 생활상의 필요에 의해서 불렸으며, 실용적 기능(노동, 의식, 유희)을 지니고 있었음 노동요 * 여러 사람이 함께 일하는 데 보조를 맞추는 것 - 일하는 사람들의 일치된 움직임을 위해서 노래가 필요했음 * 일종의 노동 동작의 지시 기능을 지님 * 흥을 유발해 즐거운 심리 상태를 조성함으로써 노동 과정에서 오는 고통 과 지루함을..

한국문학강의 2023.01.08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2. 구비문학 2

제 2장 구비문학 2 1. 서론 구비문학 특징 * 한국민족의 역사와 같이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고 전승된 문화유산 * 한국 언어 문자의 특수한 사정에 따라 특이한 양상과 가치를 가짐 - 조선조 후기까지 대다수 국민이 구비문학을 향유 - 오늘날까지 많은 구비문학 유산을 보존 갈래 * 보편적 갈래; 설화, 민요, 무가 * 신화 < 전설, 민담 *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과 결부된 이야기들이 매우 많음 * 기능요가 풍부하게 전승됨 * 노동요에는 농업노동요, 길쌈노동요가 많음 * 의식요에는 장례의식요가 많이 전승됨 * 시집살이와 같은 서사민요가 풍부함 * 특징적 갈래: 무가 * 특수성을 띠는 갈래; 판소리, 민속극 * 전문적인 창자가 노래하는 장편의 서사시로서 조선조 후기에 발생해 오 늘날까지 한국인의 애호..

한국문학강의 2023.01.07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1. 총설

제 1장 총설 1. 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 한국문학 정의 * 한국인 작자가 한국인 수용자를 상대로 한국어로 창작한 문학 특징 * 민족국가 문학의 좋은 본보기 - 한국문학사에서 민족국가의 문학이 형성되고 발전되어 온 전형적인 모습을 찾을 수 있음 * 구비문학, 한문학, 국문문학으로 이루어져 있음 - 한국문학사는 세 가지 문학이 서로 관련을 맺으면서 성장해온 역사 구비 문학 * 한국문학의 시작 한문학 * 한국의 작가가 한국의 독자를 상대로 창작 * 한국인의 생활을 내용으로 하고, 한국문학으로서 중요한 구실을 함 # 한문학이 한국문학인 이유? - 고전어인 ‘한문’은 중국어 구어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고, 중국인뿐만 아니라 동 아시아 여러 민족이 함께 쓰는 공동문어이기 때문 국문 문학 * 한국어 기록문학 → 한자..

한국문학강의 2023.01.07
반응형